조회 수: 1380, 2014-01-09 02:37:24(2014-01-04)
버려진 고아들의 정보를 여기로 종합해서 앞으로 참고 하도록 하겠습니다.
5CQ8
위는 특별히 mu 가 높이 나왔습니다. 보통은 30 정도 입니다.
위에서 6K/29 = 약 200 ohm 로 Cathode follower 시의 output impedance 입니다.
6KT8 ( 내부구조 - 9QP - Pentode g3 -> heater 에 연결됌)
복합관으로 3극관부의 mu 는 100 입니다.
일단증폭으로 웬만한 3극 출력관 Drive 에 충분한 전압은 나오지만 rp가 커서 Cathode follower 같은 buffer 가 필요합니다.
동봉됀 5극관을 3극관 접속으로 해사 Buffer 로 쓸수 있고 PK 분할형 위상 반전회로 로도 사용할수 있습니다.
6JT8 특성입니다
특성을 측정하면서 다음 Buffer 단 또는 PK 분할형 Phase inverter 를 직결 한다면 동작점 Plate 전압이 100v 이하가 좋습니다. mu 가 크고 rp 가 낮은, 즉 gm 이 높은 관이 필요 합니다.
출력전압 80 ~ 100 v peak to peak 를 목표로 찾아보면 이 범위에서 linearity 가 우수한 관들이 많이 있습니다.
8KR8 특성
여기올린 6KT8 특성의 Linearity 는 아주 우수합니다.
내부에서 Heater 가 Pentode G3 에 연결돼 있습니다. 이 문제를 극복해아 합니다.
같은 3극관이 6JT8 에도 있습니다. 좋은 특성 찾는 중입니다.
'잊혀져가는 현대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공관 정보 7963 (1) | 2015.08.03 |
---|---|
현대관 혁명 (0) | 2015.07.31 |
Linearity : 더 바랄 것이 없습니다. (0) | 2015.07.31 |
Current Based Heater - Modern Tubes (0) | 201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