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93, 2014-03-21 07:55:00(2014-03-21)
CR 감쇄형=> CR 의 조합으로 RIAA 특성을 만들고
NFB 방식 => 출력신호를 입력단 Cathode 에 CR 조합회로를 통해서 입력 합니다.
잘만든 회로라면 둘다 소리는 같아야 하지만 CR 감쇄형은 진공관 특성이 그대로 출력 됍니다.
관심이 있스시면 둘다 만들어서 들어보십시요.
이런 것이 자작의 재미 입니다.
CR 감쇄형:
진공관의 Linearity 가 좋아야 합니다. 잡음특성도 좋아야 합니다.
진공관 특성이 그대로 출력 됍니다.
(일부러 특성 나쁜관을 골라서 소리가 좋다는 장사꾼도 있습니다. 소리가 좋다니 할말은 없습니다)
5CQ8 (5GH8) 로 좋은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소신호 증폭이라서 진공관의 Linear 부분에서 동작하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Gm 이 높은 진공관 (WE437A) 으로도 만듭니다. (발진 가능성이 높습니다)
NFB 형:
Marantz 7 로 유명합니다. 충분한 양의 Feed back 을 하기 위해서는 회로의 증폭도가 높아야 합니다.
많이 사용하는 진공관 중에 12AX7 이 제일 높습니다 (공칭 mu = 100)
12AX7 이 이 회로의 표준 진공관입니다. 그 값도 $5 에서 수$100 까지로 제 개인 판단은
NFB 양이 커서 개별 진공관 특성은 출력에 별 영향이 없다고 봅니다. 수준급품 이면 OK.
Marantz 7 에서는 2단 증폭 + Cathode follower 의 3단 구성입니다. 굉장히 복잡한 회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복잡하면 뭔가가 좋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아마 가장 많이 베껴서 사용하는 회로 일 것입니다.
복잡한 회로를 알아주는 사람들은 제가올린 회로는 엉터리로 못쓴다고 할 겁니다.
'Phono a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LP용 Phono Amp 설계 - CR 감쇠형 (0) | 2016.02.15 |
---|---|
7963 Phono Amp (0) | 2015.10.23 |
Phono Amp 공부 (1) | 2015.08.19 |
Phono Amp - 5GH8 (0) | 2015.07.24 |
Phono Amp, 12/02/2003 (0) | 201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