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재물/Audio Tube Amp Design

Audio Tube Amp Design (#3)

글쓴 시간: 2010-06-09 11:26:52


 


 


 



여거서 3각형 특성 그리는것을 완전히 습득 하시면 3극관 단관 Amp의 설계의 80% 는 이미 Master한것입니다. 

이런것 모르는 Tube Amp 의 대가(大家)라는 사람도 많습니다


Q: 안녕하세요. 저번까지는 Linearity를 설명 해 주셨는데, 이번에는 이어서 Linearity를 적용에 대해서 설명을 해 주신것 같습니다. 결국 삼각형의 맨 아래부분은 특수한 경우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는 결론이고, 첫번째 삼각형ZL은 경사가 급할수록 낮은 임피던스인데 여기서 경사각이 어느정도가 ZL의 최적치인지 알고 싶고요, 두번째 삼각형은 윗쪽VG 와 아래쪽VG가 좌표(X-Y)상에서 똑같은 VG로 표시가 되어 있어서 이해가 잘 안갑니다. 좀더 보충설명을 부탁드립니다.


A: 강OM님 대신 답변을 드려도좋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일반적으로 삼극관의 경우 최적 출력임피던스는 대략 내부저항 Rp의 2배 정도라고 합니다. 즉 Zl~2Rp인데 여기서 최적이란 최대출력을 말합니다. 그러나 강 OM님 글에서도 볼 수 있는대로 출력임피던스가 다소 높은 편이 디스토숀을 줄이는데는 유리합니다. 물론 출력은 약간 떨어집니다. 많은 경우 Zl을 5~6 Rp 정도로 잡아줍니다. 

가령 300B는 Rp가 800옴 정도이지만 출력임피던스는 3Kohm 에서 5Kohm 정도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네요. 이상 답이 안되었다면 강 OM님 답을 기다리세요.

Small signal design 에서는 mu(증폭율), rp(plate resistance) 값만으로 설계를 합니다. 
여기 plate v/I특성에 이들 정보가 모두 드러가 있습니다. 
mu, plate resistance 를 그림에서 알아내 보십시요 숙제입니다.




'연재물 > Audio Tube Amp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dio Tube Amp Design (#1)  (0) 2015.08.28
Audio Tube Amp Design (#2)  (0) 2015.08.28
Audio Tube Amp Design (#4)  (0) 2015.08.28
Audio Tube Amp Design (#5) - 直線率  (0) 2015.08.28
Audio Tube Amp Design (#6)  (0) 201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