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는고쳐도 OPT 를 풀고 감고 하는 삽질은 아무나 할수있는 작업이 아닙니다
특성이 나쁘디고 OPT 해체해서 권선 풀고-더 감고 하는 이야기 들어 보셨나요?
밑의그림은 KDK 참고 편의상 올렸습니다
2차는 모두가 병열 입니다.
Bobbin에 1차 500회만 남기고 다 풀어 버리고 그위에 처음 감은 2차 똑같이 감고 병열로 연결했습니다.
처음에는 LL이 약 1/1000 이였습니다.
저는권선기에 물려서 푸는회수도 Count 합니다.
103-500 권선의 500 권선 inductance = 3.09 H
2차103 을 short 하면 3.12mH (1/1000)가 됐습니다
2차를 3층에 더 감고 병열 연결해서 1차 Leakage Inductance 를 재면 2.00 mH
여기서 제가 얻은 것은 - OPT 권선 분할없이 2층 구조로 1차 막감아도 20 Khz 까지는OK
즉 수준급은 됀다!
여러분에게는 결론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여기서의 KD77 OPT Test 는 最終 眞價 Test 는 안입니다.
<13GB5 (3극관접속) Para Amp 에서 쉽게 감아도 쓸만하다. -- 고가의 유명제품하고 충분히 경쟁할수있다.>
를 확인한 정도라고 보십시요.
13GB5 의 3극관 병열특성에서 내부저항이 200 ohm 정도라서 낮은 OPT primary Inductance 로도 충분히 좋은 저역특성을 얻을수 있습니다.
이런점을 고려한다면-- "Very much Output Tube dependent performances" 로 볼수 있습니다.
Primary Inductance ---> Core shape, number of primary turns, Gap size 에 서로 엃긴 관계에서 최적조건은
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특히 R-core 관련 정보는 우리자신이 만드러야 합니다.
앞으로 여러분들에게 드리는 과제 입니다
요번 Test는 얼마전에 올린 아래회로를 재생했다고 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