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807, 2013-05-03 02:19:57(2013-04-27)
R-core 로 만드는 Power Supply 에 관한 글을 추가 했습니다
Full Wave 정류회로는 위에서보는 4가지를 많이 사용합니다.
반파정류는 파형의 한쪽만 찌그려 트려서 Distortion 발전기입니다. 여기서는 고려하지 않겠습니다.
옛날에 B 전원의 표준회로는 필요전압의 두배를 Trans 에 감고 중간 tap을 내서 5U4, 5R4 같은 직열공통 Filament 쌍 2극관 으로 정류하고 filter 회로에 Choke Inductor 를 사용하는 방식이였습니다.
막대한 양의 Leakage Flux 가 철심에서 새어 나와서 고참 전문가도 Hum 해결에 고생 합니다. 이 Hum 해결 Knowhow 가 대단한 기술로 알려저 있습니다.
정류관은 내부저항이 매우 높고 능율도 낮습니다. 전압 강하가 1V 정도 밖에 안되는 반도체 정류기로 1:1 로 대체 하면 Surge Current 를 위시해서 여러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반도체는 못쓴다는 말 까지 나옵니다.
반도체 정류소자는 거의 이상적인 정류기입니다.
진공관 정류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장점 보다 단점이 더 많아서 새로운 설계에는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R-core 는 반듯이는 아니지만 여기서는 Bobbin 2개를 사용합니다. 이 2개가 완전히 Balance 가 돼여야 합니다.
Center Tap 방식에서 권선을 2개의 Bobbin 에 분할 하면 반파 정류 상태가 두 Bobbin 에 교차로 발생하여 불균형이 생겨서 Leakage Flux 가 발생합니다. (EI core 는 상관 없슴)
불 균형을 피할려면 각 Bobbin 마다 2배의 권선을 모두 감고 완전 병열 이 돼야합니다. Trans 구조가 복잡해 집니다. R-core 에는 부 적합한 방식 입니다.
Full Bridge 정류는 정류소자 4개를 사용하고 출력에는 2개의 순방향 전압 강하가 생깁니다. 저 전압 고 전류 에서는 정류소자의 열손실도 고려해야 합니다.
Schottky Rectifier 는 순방향 전압이 보통 Silicon PN junction 의 60-70% 정도 입니다. Breakdown 전압이 낮고 온도가 높아지면 Leakage Current 가 급속히 증가 합니다. 특성을 알고쓰면 전력손실을 최소화 해서 고성능 정류회로를 만들수 있습니다.
4 번째는 Half Bridge 형태로 Full Bridge 의 2개의 정류소자를 Capacitor로 대체한 것입니다. 배전압이 돼서 권선수가 반으로 줄고 따라서 전압도 반이 됍니다.
고전압 대용량 저 ESR Capacitor가 개발 돼여 쉽게 구할수있는 오늘날 단점은 찾을수가 없습니다.
구태여 단점이라면 낮은 전압에서 대체 Capacitor 에 대용량이 요구 됍니다.
또한 저 전압 고 전류 에서는 Pulse 형태의 대전류가 흘러서 Capacitor 의 ESR 과 권선에서의 전력 손실도 무시 할수 없습니다. 낮은전압 일수록 efficiency 가 나빠저서 Total DC conversion efficiency 가 반드시 Schottky Rectifier Full Bridge 보다 높다고 단정 할수가 없습니다.
815-PP용 전원Trans 는 SK 50 R-core 3개로 만듭니다. 6 개의 Bobbin을 모두 똑같이 감습니다.
C 전원용은 Bobbin 맨 윗층에 가는 선으로 12V 선을 감습니다. 모든 권선은 직열로 연결 돼지만 여기서는 A 전원 36V 권선은 병열로 연결합니다. 처음에는 "A" 전원도 직류로 설계 했지만 계획을 바꾸어서 교류 를 사용하고 "C" 전원 전용 권선을 따로 감기로 했습니다.
SK50 전원 Trans 권선에 대한 Data 는 이미 있스리라 생각 됍니다.
질문있스면 올려 주십시요. (K1, K2 Module 은 미국에서 공급 합니다)
여기 사진은 복합관 대신에 단관 3 극관 8개를 올렸습니다.
Amp Layout 참고로 보십시요
AC 입력 으로 동작하는 진공관 Amp는 모든 전압 이 AC 입력전압 Follower 입니다.
진공관의 동작상태가 AC 입력전압 변동 에 따라서 같이 움직입니다.
변동이 심하고 특성이 고르지 않은 진공관으로 +/- 10% 변동하는 AC입력 전압에 제대로 동작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저는 정전압을 진공회로에서 가급적 피하고 있습니다.
정전압 회로란 최악의 상태를 기준으로 잡고 그이상의 변동 을 강제로 흡수하는 Active Control Element 가 있습니다.
여기에 Power Transistor 를 쓰는데 Spec 에 나와있는 Instant Power /current Capability 하고 Steady State Power Loss 를
구별 안해서 Tr 를 태워 먹습니다.
쓰다보니 어려운 이야기라고 보실 것 같습니다. 그냥 두겠습니다.
'Other tub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D128 로 Shishido 805 SE 50W Amp (0) | 2015.07.31 |
---|---|
Mini Amp -8KR8 PP (0) | 2015.07.29 |
16GY5 SE Amp 6-8W (0) | 2015.07.28 |
815 PP - 재 검토 (0) | 2015.07.23 |
815 pp Amp (0) | 201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