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468, 2013-08-08 04:39:21(2013-07-10)
위의 출력관 Plate 전압이 좀 이상하고 OPT의 1차 저항값이 너무 높습니다 -- 확인 해 보겠습니다 kdk
전에 전원부 Check 하면서 R9 을 제거하고는 더 진전이 없었습니다.
전체 회로 설명부터 하겠습니다.
5극관의 출력단 설계는 Plate 와 Screen grid 최대 손실 전력을 초과하지않는 한도내에서
Control Grid 의 Bias 전압을 정하면 됍니다. 3극관에서와 같이 Plate Load 를 따질수도 없습니다.
(5극관의 rp 는 Plate 곡선에서 정확히 알아낼 수도 없는 매우 큰 값입니다.)
여기서는 Bias 전압이 -23V 입니다. Driver 관이 공급 해야할 신호 Drive 전압은 peak to peak 값으로 23의 2배로 46V 가 됍니다. Amp의 입력 최고 전압을 1V 로 잡습니다. 1V의 peak to peak 값 2.8 로 나누면 46/2.8 = 16.4 즉 16.4배 의 증폭이 필요 합니다. 저 증폭율 3극 관으로도 이 정도는 가능합니다. 원만한 삼극관은 다 쓸수 있습니다.
여기서 동봉된 3극관은 12AT7 급으로 고증폭율 관에 속합니다.
현 동작 상태는 gm 이 높은관, 예로 6DJ8 같이 Plate 전류를 4ma 나 흘리고 있습니다. 고전류 동작입니다. 흔히 고전류 저전압 동작이 소리가 좋다고들 하지만 소리는 알수없고 Linearity 가 좋은 gm 이 높은 동작 범위를 택한 겁니다. Plate 의 150V 는 낮은 전압은 아니지만 여기서는 일부러 낮은 전압으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THD 1% 이내로 미세조절 한다면 그때 가서 특성을 보고 검토 할 사항입니다.
진공관에 따라서는 Vg=0 근처에서 동작이 불안전 합니다. 그런경우를 대비한다면 1.6V 의 Bias 전압을 2V로 올리면 안심할수 있습니다. 저는 현상태도 Gain 이커서 낮은 Bias 전압도 상관 없다고 봅니다.
최종 점검에서 최대 출력시의 입력전압을 알게돼면 다시 검토 하기로 합니다.
****************
출력관 Drive 전압이 비교적 낮고 Drive 관 증폭능력이 충분이 커서 Drive 관의 가용 동작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이 동작범위내 이면 어디던지 모두 OK 입니다.
잉여 증폭도를 약간의 NFB 로 사용하면 좀더 개량됀 Amp 가 만드러 집니다.
--- NFB 를 이해하는데 위상의 개념이 있어야 합니다. 초보자에게는 고급 회로 방식 입니다. ---
*********************
R1 : 입력에 연결하는 기기의 출력 Impedance 가 낮으면 저는 100 Kohm 보다 낮은 값도 사용합니다.
낮은 값은 잡음 감소/회로 안정에 도움이 됍니다.
R2 : High Gm 관의 발진 방지용입니다. 여기서는 제거해도 상관 없슬것 같습니다.
R3 : Bias 저항 --OK
R4 : Load 저항 --Plate 전압이 B+ 의 반정도로 하지만 최대 PP치가 46V라서 이대로도 OK.
R5 : R4 의 6 배나 돼서 이대로 OK
R6 : Bias 저항
R7 : Screen Grid 손실이 규격치 이내라고 확인 돼서 제거해도 상관 없습니다.
R8 : Bleeder 저항으로 B+ 전압의 변동을 감소하기위해서 상당량의 전류를 흘리기도하지만
저는 고용량 Capacitor 의 방전용으로 있는것이 좋다고 봅니다. 50 Kohm 2-5W
R9 : 전에 Noise test 하면서 제거해도 상관 없어서 제거했습니다.
일반 회로에서 전단/출력단 간의 결합방지 와 Ripple 제거로 표준화 되여있는 RC filter 로 습관상 많이들 사용합니다. 1 Kohm 2W 정도 삽입해도 좋고 잡음도 없고 동작이 안정하면 R9 하고 47u/400V 를 아에 제거 해도 좋습니다.
일단 위 회로가 Version #1 - (Original)
3극관 동작이 Version #2 - (MK-I)
Ultra Linear 동작이 Version #3 - (MK-II)
앞으로 이런식으로 발전해 나갑니다.
'6/21/31LR8' 카테고리의 다른 글
6LR8 으로 2A3 도전 (0) | 2015.08.21 |
---|---|
6LR8 Amp 만드렀습니다. (0) | 2015.08.14 |
다시 그림 수정 (0) | 2015.07.30 |
6LR8 and 6V6 출력 비교 (0) | 2015.07.28 |
16LU8 SE Amp (0) | 201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