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808

A1 - 808 Amp - 제 4 부 -- 53282

조회 수: 1760, 2014-07-13 07:54:21(2013-12-19)



 


위의 3 가지 대체복합관 모두 동작 잘 합니다.

 

모든 Plate 에 공급하는 고 전압을 370V 에서 공급하다보면 필요이상의 전압이 Plate 에 걸려서 진공관의 내부 손실이 증가 (온도 상승) 합니다. Driver  관 으로 사용한 6L6GC 가 이런경우에 해당합니다.  큰 Pd 의 출력관을 택해서 나름대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저는 항상 진공관 수명이 우선이서  저항으로 전압을 강하해서 낮은 전압 을 진공관에 공급합니다. 이런경우 전원 RC Filter  와 같은 전압 강하를 위한 Filter 를 한단 설치 합니다. 진공관 Plate 가 감당하는 열을 Power Resistor 로 옮기는 것입니다.

 

Power Resistor 는 자기가  Power 를 소비하는 이런 용도로 만드러진 부품입니다. 그리고 이 Power Resistor 의 열로 인해서 다른 부품이 가열 안돼도록 외부에 설치하는 것이 열관리를 제대로 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저의 진공관 <-> 반도체 과도기 (1962-3 년대)의 반도체 개발현장에서 얻은 저 만의 경험 이야기의 일부 입니다.

설계자의 배경에  따라서  다른 작품자체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저의 직책은 그당시 세계최대의  반도체공장 Motorola에서 새 Tr 개발 이였습니다.

새 Tr 이 나오면 여기에대한 Application  Note 를 만들게 됍니다.

그때의  Application Note 에는 여러가지 진공관 대체 회로도 소개 됐습니다.

Application Note 는 Application Lab 에서 만드는데 Application Lab  소개를 먼저 해야겠습니다.

 

진공관은 언젠가는 사양화돼서 없어지고 반도체 세상이 온다는 것은 너무나 명백해진 시대였습니다.

Motorola 가 반도체 공장을  Arizona 사막 한가운데에 건설하면서 Application Engineer 를 모집 했습니다.

전국서 군장비,  통신, Audio, TV  할것없이 모두 일류들이 모여 들었습니다.  

한 평생을 군 통신장비만 설계한 원로부터 GE에서 새로운 TV용 Compactron 개발을  책임진 사람도 있섰습니다. 

 

이들의 공통적 불평은 반도체는 조금 잘못하면 모르는 사이에 죽어 버린다고 못쓰겟다는 겁니다. 

진공관은  불이 번적 나도 죽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저는 만든 편이니까  아무래도 Tr편에서 대변해야하고 저역시 제입장에서는 너희들이 쓸줄 몰라서  Tr 에 과전압이 걸려서 죽는다 -- 로 맞섰습니다.


저는 학교 졸업하고  일년정도됀 풋내기이고 이들은 10년 20년의 경력의 나다 하는 알려진 실력자들입니다. 대부분이 주요 부문의 책임자 노릇을한 "대가" 들입니다. 미리 앞을 보고 월급도 전보다 적게 받으면서도 반도체 회사로 온겁니다.   

--네가 알면 얼마나 안다고  --  별것도 아닌 동양놈이 -- 무시하는겁니다. 

 

이들의 말대로 제가 개발한 Tr 이 잘 죽어서 못쓴다면 ?   회사의 사활이 걸린 문제입니다. 회사 높은 사람한테 불려갔습니다.

무슨 수를 쓰더라도 Tr 문제는 해결해야 합니다. 회사 CEO는 Tr 을 첫 발명한 Bell Lab  출신입니다.

저의 생각이 통했습니다.

 

Application Lab 사람들은 100% 진공관 배경이여서 Tr 특성을 이해 못하고 있다고  저는 주장했습니다.

제가 일주일에 한번씩  이들을 재교육 하기로 했습니다. Application Lab manager 도 꼭 들어와서 같이 교육 받았습니다.

 

저 역시 이때 진공관에 대해서 많은것을 배웠습니다.

이들의 생각은 경력 배경에따라서  두가지로 분류 가 됍니다.

 

1) 군용 장비 설계 -- 진공관 특성변동이 없어야하고  제일먼저 죽는 부품이 진공관이여서 장수명 설계가 최우선입니다.

     -- 열관리를 철저히 해서 최악의 경우에도 과열이 않돼도록  


2) 민간 장비 설계 -- 걱정말고 최대규격으로 설계/동작시킴 --  Spec 도 더 큰 출력으로 --수명이 단축돼면 진공관 교체 하면 해결 - 동시에 진공관도 더 팔리고 -

  

여기서 Shishido 씨의 설계는 2) 에  가깝고,  저의 생각은 1) 에 해당합니다.

 

교육하면서 -- 나이든 고집쟁이는 교육 불가능 으로 느꼈습니다.

교육이 끝날 무렵에는  Application Lab manager 는 100% 제 편이 됐습니다. 

저를 멸시하던 여러 인원이 교체도 돼고 해고도 됐습니다.

 

그당시에도 반도체 Tr의 신뢰도는 진공관의 10,000 배 이상이였습니다.

오늘의 Super Computer 내에 들어있는 수억개의 개개 Tr 의 고장율은 거의 "0" 이고  이들 Tr 의신뢰도는

무한대 라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아래는

6L6GC (Pd = 30W)  를 6DR7 (Pd = 7W) 로 대체한 특성 Data 입니다.  

B 전원이 193V 로 6DR7 의 Plate 소비전력은 92V x 24ma = 2.2W 입니다.


참고로 보십시요..                                  

 




그때 GE 에서 Compactron  Engineering Manager 로 있다 온 "Chuck" 이야기로는 뻔히 사양화 돼는 것을 알면서  Compactron 개발을 결정한 이유가 자기네 (다른데 갈수없는 늙은이들) 밥그릇   5-10 년 연장을 위해서 회사에 사기첬다는 것 이였습니다.  그러면서 자기는 재수좋게  빠져 나왔다고 했습니다. 


어쨋던 그때 늙은이들 덕분에 개발됀 진공관이 21LR8, 13GB5, 5CQ8 들입니다.  

역사 이야기 입니다. 


 

------------ 계속 





'8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A1 - 808 Amp - 제6부 Power Trans -- 53478  (0) 2015.08.03
A1 - 808 Amp - 제 5 부 -808 직류점화 --53368  (0) 2015.08.03
A1 - 808 Amp - 제 3 부-- 52781  (0) 2015.08.03
A1 - 808 Amp - 제 2 부 --52457  (0) 2015.08.03
A1- 808 amp -- 51300  (0) 2015.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