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YJ 칼럼

출력트랜스 층간 절연관련

2015-06-16 08:20:18(2015-06-16)


층간 절연지에서 중요한 것은 절연성과 어느정도 열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 하겠지요.


그런데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유전율입니다. 유전율이 작아야 부유용량이 작아집니다. 가장 

이상에 가까운 절연재료는 테풀론 이라고 생각하는데 상당히 비싼 재료입니다. 흔히 파라핀 페이퍼

는 유전율이 4.0 내외인 것 같은데 테풀론은 이에 절반 정도라고 합니다. 


노란 테이프등 플라스틱 제품들은 대개 유전율이 이보다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 절연성은 좋지만 층

간 절연체로는 좋은 것 같지 않습니다. 전통적으로는 크라프트 페이퍼들을 사용해 온 것으로 아는데

이 재료가 오히려 더 좋는 생각입니다. 층간 절연재료의 유전율이 두배라면 부유용량도 두배가 되

니까 층간 절연재료의 선택에 따라 부유용량에 상당한 차이가 납니다.


현재 이 싸이트에서 제작되고 있는 출력트랜스들은 비교적 파워레벨이 작은 것들이라 트랜스의 덩치

가 작고 따라서 권선의 표면적이 그리 크지 않아서 누설 인닥탄스나 부유용량들이 그렇게 크지 않습

니다. 그래서 비교적 좋은 주파수 특성을 갖는 출력트랜스들이 만들어 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파워

레벨이 커지면 트랜스의 덩치도 커지고 누설 인닥탄스, 부유용량을 작게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집니

다. 이런 경우는 층간 절연 재료에도 상당히 신경을 써야 하겠습니다.



한편 덩치가 작은 출력트랜스를 무리하게 파워레벨을 크게 사용하면 동작 자속밀도가 커져서 찌그러

짐이 대폭 증가합니다.

'KYJ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스의 임피던스 (PP)  (0) 2015.08.18
R-코아 출력트랜스 조건  (0) 2015.08.18
21LR8PP 암프제작기 (II) (실물 사진)  (0) 2015.08.04
21LR8 PP암프 제작기 (I)  (0) 2015.08.04
카플링 캪과 암프의 음질  (0) 2015.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