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135, 2014-05-27 11:35:56(2014-05-27)
이 암프 회로는 이미 강박사님 께서 올려 주셨고 CBR님 께서 잘 그려주신 것이 있으니 참조 바란다. 보시다 싶이 회로는 QUAD II 회로와 거의 대동소이 하지만 UL 접속한 것이 다르고 초단증폭/위상반전에 5극관이 아닌 3극관을 채용했다는 점이 다르다.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보통 싸이드 브렌취 회로는 위에 회로에 보인 것과 같이 R3와 R4의 접속점을 접지하는 것이 보통인데 QUAD II 회로에서와 같이 NFB에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싸이드 브렌취 회로에서는 R3(570K) + R4(11K) = R5 (570K)로 하는 것이 보통인데 여기서는 이를 무시한 셈이다.
그러나 그 차이가 그리 크지않기 때문에 그냥 두었다. 여기서 발란스는 R4를 조절하여 잡아 주는데 현재 저항값으로 발란스가 어느 정도 잡혀졌다고 보인다. 그러나 더 정확한 발란스를 위해서는 이를 조절해 보는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림에서 570K를 R2로 표기하고 있는데 이는 R3로 정정해 주시기 바란다)
또 한가지 위의 회로에서 입력측에 1M옴의 저항을 접지시켜 준 것이 빠져있다. 물론 이 저항은 없어도 동작에는 지장이 없지만 질이 좋지않은 가변저항기나 입력 절환 스위치를 사용하였을 경우 잡음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회로에는 입력전환 스위치도 빠져 있는데 실제에서는 2련 4접점 스위치를 설치해 두었다. 이런 점에서 이 암프는 메인 암프라기 보다는 인티 암프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출력관 캐소드에 바이패스 캪은 출력관이 정확히 매치되어 있다면 없어도 무방할 것이다. 하지만 매치드 페어가 없는 경우를 위해 넣어 둔 것인데 QUAD II 회로에도 이 바이패스 캪이 장착되어 있다. 전체적 으로 회로는 매우 간단해 보인다. 특히 파트 카운트가 적은 것이 좋다.
암프 제작
앞서 언급한 대로 이 암프는 Blue Tube Audio 디자인을 보고 시작되었다. 따라서 암프 몸체의 구조가 비슷하게 되었다.
먼저 전원트랜스와 출력트랜스 2개, 그리고 전원쵸크, 전원필터용 전해 캪들은 모두 12 X 6.75 인치 철판 위에 배치하고 회로는 10 X 5.25인치의 플라스틱 기판 위에 구현하였다. (사진참조) 회로 기판은 샤시에서 4개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3인치 띄어서 설치하였다. 이 기판에는 4개의 21LR8과 볼륨 콘트롤용 2련 가변저항기, 그리고 2련 4접점 입력절환 스위치를 장착하였다. 원목으로 만든 캐비네트는 이 암프 몸체를 수용해야 하니까 그 내용적이 12 X 6.75 X 3인치가 되어야 한다. 나무판 두께를 0.75인치로 잡으면 전체 캐비네트의 크기는 13.5 X 8 X 3.75 인치가 될 것이다.
베이스 샤시는 “L”자 형태의 철판으로 하면 좋을 것이다. 실제 제각에서는 적당한 철판 (혹은 알루미늄 판)이 없어 암프의 후면 파넬은 4개의 나사로 베이스 샤시에 고정하였다. 이 후면파넬에는 왼쪽에서부터 시작하여 전원스위치, 휴즈홀더가 포함되어 있는 전원소켓, 출력단자 2개 그리고 입력단자 3쌍이 배치되어 있다. 전원트랜스에는 토로이달 트랜스를 사용하였고 출력트랜스는 SK50 R코아를 사용하여 감았기 때문에 모든 부품들이 2.5인치 높이로 제한 될 수있어 암프 몸체의 높이를 3인치로 제한 할 수 있었다. 원목 캐비네트를 장착할 경우 높이는 4인치보다 작아져서 Blue Tube Audio의 모델 보다 더 콤팩트한 디자인을 실현 시킬 수 있다고 본다.
(계속)
'KYJ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R-코아 출력트랜스 조건 (0) | 2015.08.18 |
---|---|
출력트랜스 층간 절연관련 (0) | 2015.08.18 |
21LR8 PP암프 제작기 (I) (0) | 2015.08.04 |
카플링 캪과 암프의 음질 (0) | 2015.08.04 |
3극관, 5극관 그리고 초3결 (II)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