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 시간: 2010-03-15 04:35:46
808 Amp Output Transformer 에 관심 있으신분 보십시요 eBay#150423289420 에 나와 있습니다.
최고의 SE output Transformer 를 특주로 만들었다는 2A3/300B etc 용입니다.
개당 $850 으로 Hi-B Double C-core 에 6N copper wire 로 감았다고 합니다.
주목할 것은 일차가 3층분할 (6개의 가는 일차선이 나와 있슴) 이고, 이차는 2줄 또는 4줄을 같이 감은 bifilar winding 으로 8가지(?) 줄이 나와 있어 4층 분할로 보입니다,. 첫번과 마지막층이 이차 권선으로 마지막층은 4 줄로 감은 것이 보입니다. 사진에서는 5층으로 보이지만 모두 7층으로 첫번과 마지막층이 얇아서 안보이는것같습니다. – I hope I am right.- What do you see? --
4, 8, 16 ohm 모두 노는 권선이 없도록 결선이 가능 하다고 합니다.
808 Amp Output Trans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참고로 올립니다.
영국 오디오 노트사의 출력트랜스 보다는 엄청 싼 것(?!!) 같네요. 이들은 은선을 핑게대는 것인지 모르지만 은선으로 감은 것은 두개에 만불 가까이 하는 것도 본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기억이 흐려져서 확인할 길은 없지만... 이차나 일차를 여러줄로 감은 것은 아마도 권선층을 앏게 만들려는 이유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굵은 선은 기계로 감기가 힘들다고 합니다. 바이파일러 감이로 한다면 이차와 일차를 나란히 할때 카풀링이 잘 되어서 누설자속을 줄일수 있을 것이지만 이 경우는 이차와 일차의 절연문제 때문에 이차와 일차를 같이 감은 것은 아니겠지요. 제가 올린 출력트랜스 설계연습 에서도 이차를 4줄로 감도록 설계예를 보인 적이 있습니다.
같은 층내에서도 layer 간에 절연판이 있슬겁니다.
주파수특성을 10W-20W 출력에서 10Hz까지 내릴려면 1ET께서 지적하신대로 10Hz 에서 10H 이상의 Inductance 를 유지해야 되는데 그럴랴면 Core 단면적도 엄청 커질수 밖에 없습니다. 10Hz 특성을 마추다보면 고역특성이 나빠저서"多層分割卷線" 방식으로 어느정도 보상이 가능합니다.만드러봐야 확실히 알겠지만 2WM님 걱정대로 150W size R-core로는 10Hz는 좀 무리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가령 3 dB full bandwidth 주파수 특성이 20Hz-20Khz로 되도록 구현할 수만 있다면 대 성공으로 봅니다. 일반적으로 PP든 Single 이든 진공관 암프로는 저역특성에서 solid state 암프와는 경쟁이 안됩니다. 다행히도 실제 음악에서 20Hz, 아니 30-40Hz 이하의 response를 요구하는 경우는 정말로 드믑니다. 그래서 저역과 고역간의 적정한 compromise가 필요한 것이고 엔지니어링의 요체가 바로 여기에 있는것 아니겠습니까? 이런 의미에서 엔지니어들이 정치를 해야되는 건데...
그건 그렇고, 7층 권선을 말씀하셨는데 저의 추측으로는 1차, 2차를 3등분하고 그중 1차의 1/3을 다시 2등분하여 다음과 같이 감은 것 같네요. 1차 1/6, 2차 1/3, 1차 1/3, 2차 1/3, 1차 1/3, 2차 1/3, 1차 1/6. 이러면 7층이 됩니다. 흔히 제일 처음의 권선과 나중의 권선은 다른 층의 반을 감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누설자속을 줄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2차는 권수가 작아서 굵은 선으로 감게되면 권선층을 다 채우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 설계연습에서도 그런 경우를 당하게 되어 가는 선을 2선 혹은 4선을 나란히 감도록 한 것입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권선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겠지요.
이베이에 들어가 보니 강 OM님 말씀대로 이차를 4분할 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2개에 $850인 것 같네요. 보통 한개식은 팔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차 인닥탄스가 32H이라고 하네요. 이 정도는 되어야 저역이 살아날 것 같습니다. 일차 인닥탄스는 Plitron사의 Toroidal 출력트랜스와 비견되는 것 같습니다.
강 OM께서 50W코아에 감은 OPT 일차측 인닥탄스가 10H가 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가령 자속경로 길이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 상태에서 코아 단면적이 3배쯤 될 수 있다면 일차 인닥탄스는 그것 만으로도 30H를 넘을 수 있다는 계산이 됩니다. 가령 코아 직경이 2배가 되면 단면적은 4배가 되니까 자속 경로의 길이가 30%정도만 커진다면 인닥탄스가 3배가 됩니다. 아주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8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8 Amp OPT -정리 (0) | 2015.08.28 |
---|---|
R-Core Output Transformer #5 (0) | 2015.08.27 |
808 Amp 회로 설명 (0) | 2015.08.27 |
808 OPT #4 (0) | 2015.08.27 |
808 Amp 出力段 Design (0) | 201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