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61, 2015-12-29 02:05:28(2015-12-24)
고역 특성에서의 산/계곡 찾기는 끝났습니다.
시간이 없으시면 주파수특성 다시 check는 Skip 해도 좋습니다.
위 특성에서 보면 고역에서 "산"의 위치가 60-70Khz 에 있습니다 (KD77 "산"은 주파수가 8배 정도 높은곳) 나중에 삽질할때 이런 특성도 참고 할려고 합니다. 기억해 두십시요.
OPT 권선에는 Stray Capacitance 하고 Leakage Inductance 가 전 권선에 걸처서 분산되여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합작해서 공진을 이르킵니다 이공진을 제동하는 것이 RL 입니다
우리는 같은 RL 값으로 제동을 걸었지만 특정 공진회로가 볼때는 부족할수도 있고 과잉 일수도 있습니다.
(1) (2) 산 정상이 뚜렸합니다
(3) 300 Khz 까지평탄해서 아주 좋은 고역특성으로 보이지만 RL이 장난친 겁니다
(4) RL값이 낮아서 과잉제동으로 고역 특성이 나쁘게 보이고 산/계곡이 잘 안보입니다
(5) 1500T -> 2400T 산위치는 500Khz ->200Khz
간단히 따저볼때 권수1.6배 증가 가 주피수강하는 1/2.5 -> 자승의 관계로 보입니다
여기서 RL 을낮게 8 ohm 이하로 잡으면 산/계곡이 없어져 버릴수가 있습니다.
산/계곡의 위치를 알아냈고 실제 Amp 동작특성에는 영향이 없는 200Khz 이상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권선에 Impedance 라는 숫자이름 붙혀 봅니다
1차 2400T -> 1700 ohm
2차는 100T -> 2.95 ohm
2차를 4 ohm이라고 불르면 1차는 2304 ohm
2차를 8 ohm이라고 불르면 1차는 4608 ohm
2차권선이 하나라서 ㅋㅌㅊㅍ 는 필요 없네요.
처음 1차를 1500 T에서 시작했습니다.
권선창이 남아서 더 감아서 2400T 가 됬습니다
어느쪽을 택할거냐? -- 아직 모릅니다. 이제 시작입니다
'R-core > KD77' 카테고리의 다른 글
KD77 OPT Pri. winding (0) | 2016.01.14 |
---|---|
KD77 - Best OPT material (0) | 201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