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78, 2013-11-27 00:28:03(2013-09-19)
준비중 -- 준비가 끝나면 없어집니다. -- 중도에서 마감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Trans 관련글의 연장 입니다 이들을 모두 공부하시고 오셔야 이해가 쉽습니다.
1.6K 20W PP 용 OPT 를 우리코아 SK50 을 절단해서 제작 하는 Guide 입니다.
준비중이라도 글을 쓰고 고치면서 올려 놓겠습니다.
질문사항은 댓글로 올려주시면 본문에 올릴 내용이면 본문에 포함하겠습니다.
마요- OPT 시작품 Data 를 사용해서 Full layer winding 으로 권선수를 조절합니다.
마요-Bobbin 규격
2차권선을 Full 로 3층을 감을려면 ---- 110 x 3/2.75 = 120 turn
1차권선을 Full로 6층을 감을려면 ---- 1100 x 6/5.5 =1200 turn 권선비가 정확히 유지 됍니다.
3차권선은 45 x 3/2.75 = 54.5 ---한층하고 4.5 turn 을 더 감아야 합니다.
여기서 4.5 turn 을 내 버리면?
8 ohm 권선수는 120+45=165 공식 Z1/Z2= ( n1/n2) x ( n1/n2) 를 사용하면
ZL = 8 x ( 2200/165) x ( 2200/165) = 1.42 K ohm
1.6 K ohm 대신에 1.42K ohm 의 Plate Load 로 동작하게 됍니다. 아무지장 없습니다.
권선을 모두 Full Layer Winding 으로 합니다.
R-core는 Bobbin 이 2개라서 권선이 끝나고 두 Bobbin 간의 권선을 직열 연결하는데
잘못 연결하기가 쉽습니다.
밑의 그림을 잘 연구해 보십시요
쉽게 이해가 갈수도 있고 도리여 혼란만 올수도 있습니다.
이해가 돼면 권선방식, 2개의 Bobbin 연결 방식을 처음부터 미리 설계가 가능 합니다..
저는 항상 2개의 Bobbin 을 그림과 같이 연결해서 하나의 Bibbin 으로보고 권선을 따집니다.
(5) 에서 Bibbin 을 회전해서 연결선을 단축합니다 (6).
반대로 (6) - (5) - (4) - (3) 으로 직열 권선 을 머리에 익히십시요
아래는 종이위에서 설계하는 숙제입니다. 공부삼아 올려 주십시요. 나중에 내려도 상관 없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Terminal strip 에 배선 합니다.
배선이 가장 짧고 간단하게 돼도록 권선의 시작 과 끝의 위치를
정하는 작업 입니다. PCB 설계하는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감기 전에 선을 어떤 구멍으로 빼 내는 것이 좋을지 고민은 해야 하는 것이 맞는 것같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리저리 배선이 꼬여서 절연하기가 매 힘든 상황이 벌어질 것같습니다.
숙제의 본질이 정확히 전달이 안 돼여서 -- 또한 Bobbin에서 나오는 선의 위치 등 머리를 많이써야 합니다.
일단 이글은 여기서 마감 합니다.
R-core 권선에서 두 Bobbin 1차 권선 영결 할때 이 연결점이 중간 tap 입니다. (PP OPT 는 B+)
1차가 4800 turn 2차가 165 Turn 이라면 옳은 판단입니다.
'R-co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로단축의 의미 (0) | 2015.07.24 |
---|---|
R-core OPT 설계제작 (0) | 2015.07.23 |
Trans 뚜껑 (0) | 2015.07.23 |
OPT 제작 - 참고 (0) | 2015.07.23 |
PP용 OPT 제작 (0) | 201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