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 시간: 2010-01-27 08:16:44
808 Filament 의 직류 점화가 문제가 될수 있습니다. 여러분 한번 생각해 보십시요
AC 점화시 열전자 방출이 60Hz 로 Modulate 되서 Hum이 나게 됩니다. Filament 에 있는 VR (Hum balancer라고 부름)로 이 Hum 을 중화 해서 제거합니다.
저 개인 생각은 7.3V AC 로 직접 점화 하는것이 진공관 수명에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Speaker에 가까이 가서 겨우 Hum 이 들린다는 정도는 저는 Accept 합니다.
이 Hum은 B 전원에서 들어가는것 하고는 다릅니다. 대용량 Capacitor 로 제거되는것이 아닙니다
Q: 결론은 그릿드에 + 전압이 걸리는 A2 방식은 AC점화를 하고 험 발란스를 제대로 잡아주는 방법만이 해결책인데 시시도씨는 이것을 어떻게 기술하였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808은 내경험으로 보면 조금만 충격을 주어도 필라멘트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있어 먼거리에서 구매하여 운송한다면 (국제 운송) 30% 정도는 망가진다고 보아야 할겁니다. 나에게도 몇개 필라멘트 떨어져 나간것이 있는데 모양이 고전적이라 그냥 두고 봅니다. 어쨋던 결론은 그다지 쉽게 다룰 진공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Q: 지금 이해를 하였읍니다.진공관의 히터전력이 약 30W 그리드의 전력이 약 10W 히타의 반쪽에는 문제가 있겠읍니다.만약 AC 로 한다면 트랜스의 전압을 낮추어야 하는데 혼자 결정할 문제가 아닌것 같읍니다. 험 바란스를 10 turn VR을 사용하면 정확히 발란스를 취할수 있을것 같읍니다.
Q: 제 생각도 원래 진공관이 설계된 대로 AC점화가 옳다고 봅니다. Hum문제는 정말 문제가 될 정도라면 다른 해결책도 있습니다. Hum을 Sampling해서 그리드에 인잭션하는 (위상을 반대로 해서) 방법도 본적이 있습니다. 또 한가지 입력회로가 SRPP방식인 것 같은데 TCJ에 따르면 이 회로는 90년대에 많이 유행했던 회로라고 합니다. 그런데 SRPP는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로는 좋지만(출력단에서와 같이) 이 암프에서와 같이 SRPP자체에 별 Loading (이 경우 6L6 입력)이 없을 경우는 그리 적합한 회로가 아니라는 것이 TCJ의 견해입니다. 그냥 전압증폭이 필요하다면 보통의 음극접지회로나 아니면 CCS(Constant current source)회로가 더 용도에 맞는 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러나 초단의 출력을 SRPP에서와 같이 위의 진공관의 음극에서 따오는 것이 아니라 아래 진공관의 양극에서 따온다면 SRPP가 CCS-Loaded 음극접지회로가 된다니까 현 회로를 전혀 바꾸지 않고 제작해서 배선 한군데만 바꿔서 어느쪽이 더 좋은지 실험을 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이 경우 직결회로니까 6L6의 바이어스를 재 조정해야하겠지만) 곤도상의 211 Single 회로에서는 CCS-loaded grounded cathode 회로를 썼습니다. 두 회로가 거의 동일하니까 주의해서 보지 않으면 같은 회로로 보기 쉽습니다. 그나저나 그냥 지나가다 떠올린 생각입니다. 신경 끄셔도 됩니다.
DC점화를 할 때 생기는 일반적인 문제를 생각나는 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원래 설계대로 AC점화를 하면 관내의 전계(Electric field)분포가 일초에 120번씩 바뀐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평균적으로는 전계분포가 휠라멘트 전부분에 걸처 균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겠지요. 한편 휠라멘트는 달구어지면 빨리식지 않으니까 AC를 흘려도 전자방출이 120번씩 바뀌지는 않습니다. 물론 잔류효과 때문에 약간의 Hum이 유입됩니다.
그러나 직류점화를 하게되면 사정이 달라집니다. 휘라멘트 양단의 전압이 다르니까 전계분포가 균일하지 않게되는 것이지요. 더구나 그리드는 휠라멘트에 가깝게 있습니다. 808암프에서와 같이 A2급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그리드에 + 전압이 걸리는 경우는 이 불균형한 전계분포의 영향이 더욱 두드러지겠지요. 강선배께서 지적하신대로 비싼 다마(?)를 날릴가능성이 매우 커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암프의 음질에 귀에 들릴만한 영향이 있다고는 생각하기 힘들겠습니다.
Q: 험발란스 가변저항은 조정이 문제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멀티 턴을 쓴다고 해결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대략 10옴을 쓴다고 하면 7.5X7.5= 56.25 이것을 10옴으로 나누면 5.6W가 되는데 그런 큰 멀티턴이 있겠습니까? 그냥 와이어 와운드 가변저항을 사용합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30옴 정도로 늘려도 되지만 그래도 2W가 필요합니다. 카본 필름 가변 저항으로는 무리입니다.
사실 808 진공관 내부를 보면 RCA 제는 보통 나사로 조여서 조립하는등 좀 엉성하게 보입니다. 또한 SRPP 회로는 좋아하는사람은 이것만 씁니다. 소리도 그렇지만 회로 역시 "이거다"하고 그것만 쓰는 "알려진 대가" 들이 많습니다. Shishido 씨의 첫 808 작품은 SRPP 가아닌 보통 single amp 였습니다. 다음번에 Voltage Amp circuit 도 검토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808 Filament 는 AC 점화로하고 Hum 은 별도로 해결하는 방법이 정답인것 같습니다.
2WM 님 Trans 는 7.3V 권선 2개 로 해주십시요 (7.5V 보다 약간 낯추어서)
'8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8 OPT #4 (0) | 2015.08.27 |
---|---|
808 Amp 出力段 Design (0) | 2015.08.27 |
808 용 Filter Choke (0) | 2015.08.24 |
808 Amp OPT #2 (0) | 2015.08.24 |
R-core 로 만든 808 Amp 용 OPT (0) | 201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