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 시간: 2010-01-30 14:58:05
진공관 Amp 의 설계는 여기서부터 시작합니다. 눈에 익지않은 도면이라도 아주중요한 기초입니다. 이해가 안가셔도 눈에는 익히도록 해주십시요 두번째 볼때는 좀더 이해가 가게됩니다.
3극관이지만 5극관 이나 beam관 과 비슷한 특성 곡선 입니다. 아마도 저전압 +grid 동작이 이런 형태로 나타난것 같습니다. 일반 A1 급 동작 5극관에는 이렇게 좋은 linearity는 보기 힘듭니다.
808특성이 참 좋아보입니다. 특히 비교적 낮은 부하임피던스를 요구하는 것 같아 출력트랜스 설계에 부담이 덜어질 것 같네요.
한편 808이 너무 비싸서 어렵다면 811도 좋은 선택이라고 봅니다. 러시아제 SV811은 여러 버전이 있는 것 같은데 SV811-10 과 SV-811-3 등입니다. SV-811-10은 내부저항이 높은 대신 증폭도가 조금 높고 드라이브 하기가 비교적 쉽습니다. 대신SV-811-3은 내부저항이 작은 대신 증폭도가 낮고 드라이브 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리드가 높은 드라이브 전압스윙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지요. 이는 마치 211과 845의 차이와 비슷합니다. 인터넷에서 SV-811-10을 A2동작으로 설게된 것을 보았는데 (6SL7-6SN7-6AS7-SV811/10 Tube lineup 양극전압:425V) 0Volt 바이어스로 실측 성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5K Load, +- 50V grid swing, 8.3 Watt, 0.9%,
10K load, +- 40V grid swing, 4.5Watt, 0%,
10K load, +- 50V grid swing, 7.6Watt, >5%
2.5K load, +- 50V grid swing, 9.7 Watt, 1.1%
2.5K load, +- 70V grid swing, 16.4 Watt, 1.8%
이 암프에서 초단과 2단은 모두 쌍삼극관을 병렬로 연결하여사용하였고 드라이버단은 캐소드 훨로워로 출력관에 직결되어 있습니다. 초단과 2단 드라이버 단은 모두 RC결합인데 만일 이 회로를 원형으로 사용한다면 초단과 2단은 직결로 하여 씨그날 패스에 단 하나의 콘덴사만 남기도록 하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입력트랜스가 없으니 비용은 그만큼 절감될 것입니다.
일본의 K.ame 씨는 진공관 Curve tracer 를 자작 했습니다. 다음 site를 찾아가면 자작 Tracer 사진 도 있고 Trans 의 자작기사도 있습니다. 일본말로 되있습니다
http://homepage2.nifty.com/Kame/
많이 쓰는 5극, 빔 진공관의 3극 결선 특성을 측정해서 그특성을 전세계 Fan 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가 제일 많이 찾아가고 이용하는 곳입니다.
Vacuum tube tracer 는 Transistor curve tracer 를 써서 Heater전력을 외부에서 공급하면 대부분의 Voltage Amplifier tube는 다 잴수 있습니다. 출력관 은 High voltage/power step generator를 외부에서 공급해야 합니다. 출력관은 아직도 Manual Plot 도 많이들 하고 있습니다과거에 Tube tracer 라고하여 Oscilloscope에 adapter 로 만드러 파는것을 본일이 있습니다.
K.ame 상이 만든것도 Adapter 라고 봅니다.
808 project 에도 manual plot 추천합니다.
811A Heater는 두가지 방법 다 Work 합니다.
Tap 방식이 Power loss 가 없어서 더좋겠지요.
'8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8 Amp 회로 설명 (0) | 2015.08.27 |
---|---|
808 OPT #4 (0) | 2015.08.27 |
808 tube Filament -DC power supply (0) | 2015.08.27 |
808 용 Filter Choke (0) | 2015.08.24 |
808 Amp OPT #2 (0) | 2015.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