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19, 2015-09-05 11:21:43(2015-05-19)
사진이 용량 관게로 올라 가지 않아 여기에 올립니다.
5분 간격으로 극성 변화시캬 주는 부분의 사진
808 B+ 전원부 및 Grid 전원부 사진
808 B+ 및 Grid 회로
다음에는 808 tube B+ 전원입니다. 이는 첨부된 회로처럼 여러군데에서 잘 사용하는 회로입니다 original은 oldradio club 김경원 오엠님이 디자인 한 것을 다소 변경하여 적용하였습니다.
회로 왼쪽 FET 2N7000 gate측의 저항과 콘덴서의 용량을 바꾸면 지연시간을 변경할 수가 있습니다. 원래, 충분한 전압차가 확보되면 정전압을 만들지만 370V DC를 위해서 400V DC input은 충분하지 않은가 봅니다. 808 tube 한 개를 구동하여 실험할 때는 전압 drop이 없었는데, 두 개를 다하니까 약 3-4V 떨어지며 때로 fluctuation도 조금 있습니다. 그러나 amp 구동에 전혀 문제가 없는 수치라 그대로 두었습니다.
이번에는 808 tube의 grid전압의 B+ 연계회로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Shishido님의 808 tube SE amp는 Grid를 양극으로 작동 시킵니다. 따라서, Filament가 가열되고, 플레이트 전압이 확보되기 전에 그리드 전압이 인가되면 이 그리드를 통해서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결국에는 허용 한계치를 넘게 되고, 808 tube가 망그러 집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라도 Filament가 가열된 후 플레이트 전압이 인가된 후 그리드 전압이 공급되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아주 중요한 사항으로 간과 되어서는 안됩니다. 그리드 허용 전류치가 최대 40mA이기 때문에 fast response 40mA fuse를 사용하면
protection을 할수가 있습니다.
회로를 보시면 플레이트 전압이 확보되면 그 때부터 그리드 지연회로 초입 PNP & NPN TR을 사용한 지연회로에 전압이 인가 되고, 이는 HD11D3내부의 LED를 on 시켜 내부회로를 turn-on하게 만듭니다. 이로써 그리드에 전압이 공급되기 시작 합니다.플레이트용 B+와 그리드용 전압은 이렇게 HD11D3을 통하여 회로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연계되어 시간차 공급을 하게 됩니다. HD11D3은 유사한 기능의 device로 대체해도 무방 합니다.
출력측 리플은 체크하지 않았습니다만, 앰프에 스피커를 연결하고 귀를 바짝 대고 들어도 교류험은 들리지 않습니다. 저의 집 메인인 Signature DA 50 France Jadis 사 앰프는 귀를 대면 험을 들을 수가 있습니다. 그리드에 인가 되는 전압은 인가되기 시작한 후 서서히 올라가기 때문에 그리드 전류도 서서히 증가 됩니다. 어떠한 거슬림도 그리고 소리도 전혀 없습니다.
'8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KF-808 tube SE 제작기 (1) (0) | 2015.11.22 |
---|---|
KF-808 tube SE 제작기 (2-1) (0) | 2015.11.22 |
KF-808 tube SE 제작기 (3) (0) | 2015.11.22 |
KDK 808 Amp Proposal (0) | 2015.10.15 |
808SE with 7968-6BX7 (0) | 201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