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 시간: 2010-01-20 10:26:31
오늘도 하루종일 주룩주룩 비가 오는 바람에 밖에 일은 공을 치게 생겼다. 심심하던차에 드디어 강선배께서 말씀하신 쉬쉬도 808암프의 최신판 회로 (12AT7-6L6(3)-808)를 인터넷에서 찾아냈다.
쉬쉬도 암프 회로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입력트랜스의 1차, 2차권선에 직류를 반대로 흘려 직류로 인한 포화현상을 피했다는 점이겠다. 또 하나 눈에 띄는 점은 출력트랜스의 1차측 임피던스가 2.5Kohm으로 임피던스 레벨이 생각보다 낮다는 점인데…(참고로 곤도상의 211 Single의 출력트랜스의 1차 임피던스는 16 Kohm이다)
출력 임피던스는 3극관의 경우 대략 출력관 내부 임피던스의 2배 정도일때(주먹구구식으로 따지면) 최대출력이 된다는 소리를 들었고 찌그러짐을 고려하면 4배 내지는 5배정도로 잡아준다는 것이 권위자(?)라는 분들의 고견으로 듣고 있는데 그렇다면 쉬쉬도 암프에서 출력관인 808의 내부저항이 1.25Kohm 내외거나 아니면 더 낮을 수도 있다는 말인데 약간 의문스럽다. 주어진 동작점에서 808의 내부저항에 대한 데이터가 없으니 알길은 없지만…
또 우연하게 강선배께서 사진으로 보여주신 R코아 출력트랜스 싸이트를 찾아서
Softon이라는 이 회사의 Single 용 출력트랜스 RW20 을 보았다. 그런데 일차측 인닥탄스가 12H로 생각보다 작은 것 같다. 이사람들 Gap을 만들었다는데 한 쪽만 절단했을까 아니면 양쪽 다 절단했을까? 한쪽만 절단했다면 Gap의 간격을 미리 알아야 할 것이고 이 경우 절단면을 연마할 필요가 없을 테니 공정이 비교적 간단할 것이다. 양쪽을 모두 절단한다면 단면만 원일 뿐 C코아와 다를 게 없다. 이 경우 권선이 쉬워진다. 언젠가 인터넷에서 Wire(?)를 감아서 만든 R코아를 본 적이 있는것 같은데 이것은 철판형태다. 양쪽을 모두 절단해서 사용할 경우 구태어 R코아를 써야할 이유가 있는지 모르겠다.
http://softone.a.la9.jp/english/
제가 한국에서 잠간 한전 산하 통신연구소에서 근무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연구소 직원이 Toroidal core 를 몇개 얻어 주었는데 물론 (잘랐을 때)단면이 사각형 입니다. 여기에 손으로 동선을 감아 보았는데 사각부분이 너무 날카로워서 동선이 끊어지는 현상을 보았습니다. 그러니 Toroidal core라도 단면을 원형에 가깝게 하는 것이 좋겠지요. 그리고 보빈을 두개로 하여 1차와 2차 coil 들에 간격이 있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들이 이렇게 한 이유는 아마도 제조 공정상 필요에 의해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Coil을 감을수 있는 공간을 가능한한 빈틈없이 동선으로 채우는 것이,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좋습니다. 사실 가능하다면 동선의 단면도 사각이나 육각으로해서 전체 단면적대 동선이 차지하는 단면적의 비를 크게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에나멜의 두께도 내압이 견딜 수 있는 범위내에서 얇은 것이 좋을 것이고 층간 절연을 위한 절연지의 두께도 얇게하는 것이 좋겠지요. 물론 동선은 순도가 높은 OFC를 사용해야 하겠지요.
사실 Multi-sectional coil widing에 대하여는 연구가 잘 되어 있습니다. 많은 종류의 configuration에 대하여 누설 인닥탄스나 부유용량등이 잘 계산되어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지금 어느구석에 쳐박혀 있는지 찾을길은 없지만...물론 이것은 EI Core를 썼을때 이니까 직접 적용은 안될 것입니다. 이론적으로는 Toroidal이 유리합니다만 제조비가 아무래도 올라가겠지요.
한국에서 얻었던 Toroidal core는 강판이 비교적 두껍고 돌돌 말아서 만들었는데 마지막 끝을 용접으로 붙여 놓았습니다. 이 용접을 떼어내니 강판이 모두 풀려버리더군요. Audio용 트랜스는 이 강판의 두께가 전원용 보다는 얇아야 합니다. 주파수가 높아지니 철손이 올라기겠지요.
845 Single에 사용한 출력트랜스는 Magnequest의 FS-100 모델인데 EI core를 썼고 강판의 두께가 상당히 앏습니다. 그리고 네 모서리에서 나사로 조였는데 이 나사도 비철금속(신주)으로 만든 나사이고 이 나사와 철심을 절연했습니다. 좋은 트랜스를 만들려면 이정도의 세심함을 절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KYJ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력트랜스 권선방법에 대한 제언 (0) | 2015.08.27 |
---|---|
진공관 암프 입출력 트랜스 설계제작에 대한 정보 (0) | 2015.08.27 |
Tannoy 스피커 Active Crossover Network 제작 실패기 (I) (0) | 2015.08.22 |
808 암프제작에 대한 몇가지 일반적 고려사항 (0) | 2015.08.18 |
출력 트랜스 설계- 제작 (0) | 201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