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YJ 칼럼

출력트랜스 권선방법에 대한 제언

글쓴 시간: 2010-01-26 06:13:09 


MagneQuest 의 FS100 출력트랜스는 845 나 211 single용으로 설계된 출력트랜스로서 비교적 잘 알려진 출력트랜스 중의 하나이다.  이 출력트랜스는 2차측 권선이 3 부분으로 되어 있다.  정확히 재 보지는 않았지만 한 권선은 전체 2차측 권선의 1/2이 (이를 권선 A라고 하자), 나머지는 각각 전체권선수의 ¼이 (이를 각각 권선 B,C 라고 하자) 되도록 감겨있는 것 같다.

이 권선들은  필요한 출력 임피던스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결한다. 

4 Ohm:  권선 B 와C를 직렬로 연결하고 이를 다시 권선 A와 병렬로 연결한다.

16 Ohm: 세 권선 모두를 직렬로 연결한다.

8 Ohm: 권선 B와 C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를 다시 권선 A와 직렬로 연결한다. 

총 권선수를 1로보면 4 Ohm일 때는 권선수가 ½, 8Ohm일 때는 3/4, 16 Ohm일 때는 1이 되니 8 Ohm연결은 8 Ohm이 아니고 9 Ohm이 되는 셈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모든 출력임피던스의 경우에도  감겨있는 권선을 모두 이용하기 때문에 누설 인닥탄스를 줄이는 면에서 볼때 좋은 방법이다.

필자는 출력단자를 6개로 만들어 스피커 임피던스를 바꿀 필요가 있을 때마다 이들 단자들간의 연결을 변경해서 쓰고 있다.  그러나 스피커를 자주 바꿀 필요가 있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크게 불편하지는 않다.  스피커를 여러 세트를 가지고 자주 바꿀 필요가 있다면 3련, 4접점 스위치를 사용하여 임피던스를 바꿀 수 있을 것이다.


그냥 주먹구구식 생각인데 이런식으로 감아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즉 보빈 하나에 안쪽부터 전체권선수의
2차권선의 1/8, 1차권선의 ¼, 2차권선의 1/4 , 1차권선의 ¼, 2차권선의 1/8, NFB권선의 ½. 순으로 감아나옵니다. 그런다음 동일한 보빈을 두개 사용하여 연결하면 어떨까요. 이런 경우 이점은 양쪽이 동일한 형태이니 구별할 필요가 없이 짝수개의 보빈만 만들면 됩니다. 대량생산할 경우에는 큰 이점입니다. 그리고 양쪽이 대칭이니 특성상으로도 이점이 있을 것입니다.

또한가지 주먹구구식으로 권선수를 정한다면: 
가령 4 Ohm 에 10Volt가 나올 수 있다면 25Watt 의 출력일 터인데 권수비를 대략 30:1로 잡는다면 최대출력시 1차권선에 300 Volt가 걸려야 합니다. 전원트랜스를 감아본 분들은 주어진 코아에서 1 Volt당의 권수를 알고 있으니까 Volt당 권수 곱하기 300 곱하기 2 또는 3 정도로 1차권선을 감아보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이것은 물론 제대로 설게하는 것은 아닌데 눈감고 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 같아서 써 보았습니다.


만일 2차측 권선을 모두 직열로 연결하여 16옴이 되도록 한다면 4옴이나 8옴은 탭을 내어서 쓰게 됩니다. 이런경우 만일 4옴 스피커를 연결하면 권선의 절반은 쓰이지 않게되고 따라서 누설 인닥탄스는 증가하게 되겠지요. 제안한 방법에서는 어떤 경우에도 감겨진 모든 권선을 이용하게 되므로 유리 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모든 선의 직경은 같습니다. 한편 2차측의 권수를 계산할 때 16옴을 기준하나 8옴을 기준하나 4옴을 기준하나 아무 관계가 없습니다. 4옴때의 권선 비가 30:1이면 (임피던스비는 900:1, 즉 3.6K:4옴) 16옴에서는 15:1이고 8옴 때는 21.2:1 이 됩니다.


Q:

Test 하기쉽게 4 ohm 권선 4개를 만든것입니다. 4, 16, 64 ohm 은 권선 regroup 만으로 쉽게 됩니다. 가능한한 권선굵기의 차를 줄이고 64 ohm 를 test 에 쓸려고 한것입니다. 

중요한 8 ohm 이 빠저 있습니다' 

Final 에가서 2ea 1/4 winding and 2ea 1/2 winding 으로 할 생각입니다. 모두 같은 굵기로 감고 4,9(8 대신), 16 ohm 이 노는 권선 없이 가능하고, 16 ohm 에서는 문제는 안되지만 권선 전류 용량 unbalance 가 생기게됩니다. 
4,8 ohm 을 더 많이 쓰고 있습니다

1ET om. do you approve this winding scheme?


A:

선배님 말씀대로 제가 제안한 방법은 노는 권선이 없어서 누설 인닥탄스를 줄이는 면에 있어서는 유리합니다. 반면 8(9)옴으로 연결할 때는 병렬연결한 부분의 권선 전류용량이 두배가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어떤 회사들은 8옴 혹은 4옴 전용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사실 요사이는 16옴 스피커를 거의 불 수 없으니 16옴은 필요하지 않을 것 같네요. 일제 하시모토 (산수이 후신)는 그냥 탭을 내서 쓰고 약간의 누설인닥탄스를 감수하는 것 같습니다. 하여튼 이런 문제는 제작자 자신들이 판단할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