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 시간: 2010-01-30 10:26:21
진공관 암프용 출력트랜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려면 누설인닥탄스와 권선용량을 가능한 한 줄여야 한다. 권선방법에 따른 예상 누설 인닥탄스의 실험식을 소개한다. 이로서 권선방법에 대한 약간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먼저 일차권선을 3분할하고 2차를 2분할하여 수직방향의 분할을 한 경우(수직방향이란 일차(혹은 이차) 권선을 철심안쪽에 제일 먼저 감고 층층이 감는 경우)
전체누설인닥탄스 Lp’ 는
Lp’ = (0.35 * l * Np**2) / w * (d1+d2+d3+d4 + (h1+h2+h3+h4+h5)/5) * 10**(-5) mH
한편 2차권선을 수평으로 2분할 하고 1차를 중간에 끼워 감는 경우에 누설인닥탄스는
Lp’ = (.95 * l * Np**2) / h * (d1 + d2 + (w1 + w2+ w3)/3) * 10**(-5) mH 로 주어진다.
여기서
l 는 권선의 한 바퀴 평균길이
di 는 절연지의 두께
wi 는 권선의 폭
hi 는 권선층의 높이
Np는 일차권선의 권수이고 모든 크기의 단위는 inch이다.
실험식에서 보시다 싶이 누설 인닥탄스는 권선의 자승에 비례하니 필요한 인닥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범위안에서 권선수를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권선의 층고를 줄이고 권선 폭을 넓게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 수평분할 보다는 수직분할이 유리해 보인다.
스피커가 다이나믹 스피커인 경우 부하자체가 인닥티브 부하이니 이런경우 누설 인닥탄스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하는데 이런 의미에서 누설 인닥탄스를 줄이기 위하여 1차권선의 인닥탄스를 줄이면 저역특성이 나빠지게 되니까 충분한 일차 인닥탄스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Q: 권선에서 일차 이차 다층 으로하는것은 물론 중요하지만 권선수가 적은 굵은 이차측이 층 중간에서 끝나게되면 Lead 끌어내기 빈공간 채우기등 다음층 감는데 문제가있고 공간을 남기거나 다음층을 위해서 mechanically stiff layer를 삽입하면 winding density 가 나빠저서 많은 선을 못감게됩니다. (저주파 재생 이 어려워짐)
가능한 한 가는선으로 한 Layer를 fully fillup 해서 lead wire 가 층 중간에서 나오지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한 권선 기술입니다. 머리를 많이 써야 좋은 작품이 나오게 되는것입니다.Layer 를 100% 채우면서 선의 굵기 회수를 유지하는 이런 Knowhow 는 절대로 남에게 안가르켜 준다고 합니다.
올려드린 실험식은 특수한 경우지만 일반적인 형태로 볼 수도 있습니다. 상수만 다를뿐 다른 분할의 경우에도 누설 인닥탄스는 비슷한 형태의 식으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코아의 크기는 적정값보다 조금 큰 것으로 선택하는 것도 한 요령이 되겠습니다. 한편 선경을 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트랜스의 온도상승 문제라고 합니다. 누설 인닥탄스를 줄이기위하여는 선경이 조금 작은 편이 좋겠지만 직류저항의 증가는 온도상승뿐 아니라 주파수 특성등 다른 성능에도 영향을 끼치니까 이런 점들을 잘 조화시키는 것이 노우하우 같습니다.
'KYJ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력트랜스 설계 연습 (1) (0) | 2015.08.27 |
---|---|
출력트랜스 일차측 인닥탄스 (0) | 2015.08.27 |
출력트랜스 권선방법에 대한 제언 (0) | 2015.08.27 |
진공관 암프 입출력 트랜스 설계제작에 대한 정보 (0) | 2015.08.27 |
808 암프 출력트랜스 설계제작에 대한 약간의 잡생각 (0) | 201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