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606, 2013-10-25 15:25:31(2013-10-23)
아래그림에서 (A)는 진공관하고 Trans 의 간격을 좀 크게 했습니다.
어느쪽이 더 좋게 보이는지요?
참고 자료 들입니다.
OPT 포장 이런식도 있습니다. (1)
OPT 포장 이런식도 있습니다. (2)
Original R-core 전원 Trans 장착 방법 입니다.
두꺼운 Aluminum 판 을 사용한 Amp
위 사진의 회로 배선은 21LR8 SE 하고 비슷합니다.
CNC 가공한 두꺼운 Aluminum 판에 직접 배선 했습니다
여기서와 같이 Terminal strip 만 공급 할 수도 있습니다.
--------------
보통 상식을 벗어난 배치가 전원 T 를 내부에 설치하는것입니다.
R-core 덕분에 체적도 작아지고 Leakage Flux 영향도 감소는 했지만 어느곳에 어떻게 고정하는 것이 좋을지 여러분과 같이 고민 해야할 사항입니다.
----------------
위가 약해지고 밑이 강하고 커졌습니다.
저는 만들고나서 동작상태에서 측정을 많이 합니다. 뒤집어 놓고 Test 나 부품 교환이 가능하도록 ---
여기서는 OPT가 진공관 보다 약간 더 높아야 합니다. 저에게는 매우 중요한 조건입니다.
또 한가지 조건은 진공관 Socket 윗부분이 샤시보다 약간 (0.5mm) 위로 올라오도록 합니다.
조임력이 없는 중국제 Socket 을 가능한 한 Socket 전체가 힘을 않받고 진공관을 뽑는데
이런구조가 저에게는 도움이 됩니다. 사진 올립니다.
작은 Driver 로 진공관 주위 180도 위치나 120도 위치 에서 한번에 1 mm 씩 뽑아내서 최소한의 힘으로
좌우 움직임도 최소화 합니다. 그리고 뾰죽한 침으로 넓어진 Socket pin 을 바깥쪽에서 좁혀줍니다.
중국제 Socket을 사용하는 저의 Know how 입니다.
--------------------------------
여러분들의 INPUT 가 많이 들어갔습니다. THANK YOU
9cm -> 10cm (실제크기)로 고쳤습니다
배선은 아래 방식으로 합니다. 머리를 쓰는 배선입니다.
PCB 대신 Terminal strip 를 공급 합니다.
'6/21/31LR8' 카테고리의 다른 글
6LR8 회로--설명 (0) | 2015.08.03 |
---|---|
다시 그림 수정 (0) | 2015.07.30 |
6LR8 and 6V6 출력 비교 (0) | 2015.07.28 |
16LU8 SE Amp (0) | 2015.07.28 |
6LR8 Amp 비교 (0) | 201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