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91, 2014-09-03 10:37:06(2014-08-06)
드디어 기다리던 진공관이 도착해 808 SE 제작에 돌입했습니다
케이스는 기존 보유하고 있는걸로 시작합니다
출력관과 전원트랜스와의 간격이 가까워 뒤로 밀어 거리를 확보했습니다
또 출력관과 드라이버관의 간격도 가깝지만 이번 Sample 은 그냥 진행합니다
Heater Trans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DC점화 7.5V/4A 를 정확히 맞추는데 코일을 감았다 풀었다를 몇번 해야했습니다
(정류다이오드 Vf전압,평활저항,다이오드 방열판크기등)
7.5V/4A 부하에 3시간정도 Aging Test 도 마쳤습니다
현재 출력관의 Heater 전압은 DC 7.38V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계속~
KDK:
구조를 보면 808 은 운모를 사용 하지않은 생산 방식으로 300B 보다 앞세대 (더 구세대) 진공관입니다.
RCA 제는 Grid 를 내부에서 Band 를 사용해서 작은 나사로 고정 하고 있습니다.
정상동작에서도 Plate 색갈이 분홍색이 됍니다.
Heater 전압 95% 정도로 유지하면 생명 유지에 도움이 됄겁니다.
주목할 것은 RCA 808 에는 Getter 가 없습니다.
Aging 은 필요가 없고 수명 단축만 합니다.
주의!! 주의!!
808 grid 가 +로 동작하기때문에 정상 동작시 Plate 로 가는 전자의 1/4 을 grid 가 흡수 합니다.
Plate 전압이 낮아지면 전류는 모두 Grid 로 가서 Grid 가 가열됍니다.
처음 통전시에 잘못해서 50ma 이상의 과격한 Grid 전류가 흘르면 808 Grid 가 녹아버립니다.
Grid 에 전류계를 삽입해서 정신 차리고 보고있어야 합니다.
어떤 형태이던 808 진공관 Grid 보호 장치가 반드시 마련 돼야합니다..
저는 순간적으로 동작하는 Fast acting 1/16A fuse 를 grid 회로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40V 의 grid 전압을 시간 지연 해서 서서이 투입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C전원 전류가 40ma 를 넘으면 자동으로 Shutdown 하도록 하면 더좋습니다.
SSO:
\
IST를 완성했습니다
KD33을 kuk님으로부터 제공받아 IST를 감았습니다
박사님께서 올려주신 SPEC.으로 작업했습니다
1차 : 2380ts AWG#32(0.2) L : 20.8H DCR : 117.6옴
2차 : 1870ts AWG#29(0.28) L : 12.7H DCR : 46.4옴
1차는 양쪽 4분할감이 (275ts+275ts+275ts+365ts)
2차는 양쪽 3분할감이 (275ts+275ts+385ts) 를 1차와 Sandwich 권선으로 했습니다
사진과 같이 남는창이 전혀 없습니다
808SE 배선도 거의 끝냈습니다
조금 좁은면도 있지만 작업하는데는 별 문제 없었습니다
IST 단까지 출력파형 확인했습니다 물론 각부 전압도 체크했구요
이제 OPT 제작하여 완성하면 되겠습니다
KD77 코아 도착해도 마무리 하려면 몇일 걸리겠지요
박사님 IST를 no gap으로 조립하여 장착했는데 air gap을 주게되면 특성이 좋아지는지 궁금합니다
KDK:
IST 의 1, 2차 Ampere turn 이 같으면 DC 에의한 Flux 는 상쇠 됍니다. (PP Amp 원리)
Grid DC 전류를 30ma 로 보면 6L6 의 38ma 전류는 너무 많습니다.
이정도의 Unbalance 는 Trans 가 감당할수가 있다고 봅니다. gap 없이 만드러보십시요.
IST 때문에 저역 (100Hz 이하) 에서 Distortion 이 많이 생기면 도리여 저역이 잘나오는 Amp 라고 좋은 평을 받습니다.
808 보호 를 위한 첫 통전 절차
808 진공관 Grid 하고 Plate 에 각각 전류계를 삽입 하십시요
1) B+ 전원을 먼저 ON 하고 (보통 방식하고 반대 순서)
2) 41V C 전원은 서서히 올립니다.
Grid 전류는 30ma 에서 멈추고 Plate전류는 110-120 ma 정도에서 멈춥니다.
B+ 는 370v 정도면 OK 높으면 출력이 더나옵니다. 동시에 Pd 도증가 --
3) 최대출력은 Plate 전류가 감소하고 Grid 전류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점입니다.
808 에서는 입력신호가 어느선을 넘으면 Grid 전류가 급격히 증가해서 Grid 손실이
전류 자승에 비례해서 증가 합니다. 오래있스면 Grid 가 녹아버립니다.
NFB 로 최대출력을 조절합니다. 필요 이상의 입력감도는 출력관 grid 에 해롭습니다.
SSO:
KD77 도착했습니다
10턴을 감았는데 1.6mH (120Hz) 제이엘범님과 비슷하게 나옵니다
50H 에 1차 임피던스 2.5K : 1768Ts 으로 감아보겠습니다
* KD77 에 808SE OPT 를 감았습니다
1차 : #26 1768ts
2차 : #27 x 4 100ts(8옴) ,#27 x 4 141ts(16옴)
NFB 64옴 : #27 x 2 282ts
* Grid 전압과 Plate 전류측정용 Meter 도 만들었습니다
* Grid 전압이 Plate 전압보다 5초후에 인가되도록 지연회로 를 꾸며 넣었습니다
내일부터는 동작실험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808 SE 바이어스 전원용으로는 초소형 24V가 좋겠습니다
LM317T 앞단을 릴레이 전원으로 쓰시면 됩니다
808SE 완성했습니다
Shishido MK-2 회로와 같으며 NFB는 3.3K 로 변경하여 이득을 줄였습니다
전원트랜스 용량부족으로 전압강하가 많이 일어남
B 전원 : 328V
Plate : 전압 324V 전류 129.3mA
Grid : 전압 35.5V 전류 23.6mA
출력 : 9W max
THD : 1W일때 0.6% 8W일때 2.9%
주파수특성 : 40Hz~50KHz 까지 평탄함
전체 소비전력 : 230W (전기세 감당하기 버거울듯)
*개선할사항 : 전원트랜스 1개 더 추가, OPT Turns조정 (저역부족), 케이스 공간부족 등
소리성향은 두툼하면서 화사한 느낌? 제가 가지고있는 300B SE 보다는 나은것 같습니다
드라이브단을 6W6으로 교체하여 다시 올리겠습니다
KDK:
수고 하셨습니다.
THD 특성이 0.6 에서 2.9 까지 거의 30 - 45도 각도로 증가하면 제대로 만드신 겁니다.
확인해보십시요.
저역특성은 크게 신경쓸필요는 없습니다.
6W6 (3극접속) 은 6GA4 의 대체관이라고 보고 6DJ8 - 6W6 도 시도해보십시요
B+ 는 24V (소형 Heater Trans) 를 B+ 권선에 직열로 연결하면 해결 됍니다.
SSO:
생각지도 못한 좋은 앰프를 만들게 해주신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THD특성도 거의 일정하게 40도정도로 올라갑나다
24V소형 트랜스를 넣어보겠습니다
히타용 다이오드에서 많은 열이발생하여 방열판을 키워야겠습니다
박사님! 앰프 전원을 켜고 출력관 Grid전압이 인가되는 순간(20초 타이머) 스피커에서 Click 음이 들립니다
스피커 지연회로를 써야 되는지요?
그리고 2시간 동안 808출력관을 거꾸로 켜놓아도 되는지요?
내부의 방열판등 온도체크를 하려 합니다
KDK:
Grid 전압을 켜는 순간 Shock 진동이 생깁니다.
서서히 grid 전압을 올리십시요
808 그리드전압을 0V 부터 40V 까지 10초동안 천천히 인가하는 기능을 넣었습니다
플레이트전압이 가해지고 약15초후에 그리드 전압이 천천히 투입됩니다
그리드에 전압이 가해질때 Click 음이 사라지고 부드럽게 동작합니다
그리고 필라멘트전압을 토쿨스위치로 +,- &-,+ 로 절환할수 있는 기능도 넣었습니다
전원을 켤때마다 토쿨스위치 위치를 좌우로 바꾸어 (내부에 릴레이 10A용 2개를 ON,OFF함) 수동이지만 해결했습니다
808SE 완성된 모습
'8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8 Amp - 삽질 (0) | 2016.04.05 |
---|---|
808 Amp - 銘機 完成 (0) | 2016.04.05 |
KF-808 tube SE 제작기 (1) (0) | 2015.11.22 |
KF-808 tube SE 제작기 (2-1) (0) | 2015.11.22 |
KF-808 tube SE 제작기 (2-2) (0) | 2015.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