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해 Capacitor 숙제 조회 수: 2016, 2015-06-29 11:02:58(2012-11-30) 많은 시간이 들어도 꼭 하십시요 SMPS 의 발전을 뒷 바침 한것이 Power MOSFET 하고 소형 대용량 전해 Capacitor 의 개발입니다.높은 동작온도 와 100Khz/120Hz ripple current 에 견디는 고 신뢰도의 장수명 Capacitor 가 나오면서 SMPS 는 Noise 를 포함해서 못쓴다는 말은 이미 옛날 이야기가 됐고 SMPS 전성 시대가 왔습니다. 6)의 조건이 Spec 에 없으면 Power Supply 용이 아니라고 보고 제외 하십시요 100Khz ESR 이 없습니다. 60Hz 용으로는OK 고주파 SMPS 용으로는 안 쓰는것이 좋겠습니다. 미국의 대용량 Capacitor 시장은 일본이 장악하고.. 더보기
Voltage Doubler 전원 조회 수: 2679, 2015-04-27 23:14:37(2012-11-24) ++보충 설명--아래 글에서 150V 면 충분하다고 했는데 Load 가 없으면 peak 치 180 까지 올라 갑니다.현대 Capacitor 는 순간 Peak 전압에도 견들수 있습니다. 이런 규정이 없는 Capacitor는 200V 짜리를 쓰도록 합니다. Toroid 전원 Trans 무계가 제가 만든 OPT 보다 가볍다면 Trans 용량 자체가 모자라는것 같습니다. R-core 에 비해서 Toroid 의 큰 단점은 열의 발산 능력이 많이 모자랍니다. 저도 R-core 로 전원 Trans 감아 보겠습니다. RST 님의 R-core 전원 T 결과 기다리겠습니다 Rt=10일 때 목표하는 B전압이 나왔기 때문에 10옴을 연결해 두고 듣.. 더보기
808 Amp - 삽질 조회 수: 2143, 2014-08-26 09:23:50(2014-08-19) (2) 부터 설명합니다.Shishido 808 회로를 충실하게 만들면 맨위의 Shishido 특성은 큰 문제없이 나옵니다.6L6 보다 Pd 는 작지만 rp 가 낮은 6W6 로 대체해서 Cathode 저항하고 NFB 를 조절해서 얻은 특성이 (2) 입니다. 이보다 동작점 전류를 좀 더 증가하고 NFB를 감소하면 (1) 의 특성이 얻어집니다. (3) Driver 단 이득이 충분해서 B+ 전압을 190 -> 169v 로 그리고 370-> 293v 로 각각 내리고 Cathode 저항하고 NFB 를 재조절해서 (3) 의 특성이 얻어 졌습니다. 6W6 의 Pd max 가 10W 라서 마음에 걸렸던것이 Pd = 5.2W 로 많이 감소했습니.. 더보기
808 Amp - THD 0.1% 조회 수: 1820, 2014-10-10 07:00:31(2014-08-16) 위의 30 Hz Distortion 은 150Hz 에서 시작해서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출력과 함께 커집니다.6BX7 Para Drive 로 얻은 특성 추가했습니다-- 8-21-2014 무한한 가능성은 0.1% THD 에서 시작합니다. -- KDK 이론 --거의 완벽한 Amp 가 아니면 불가능 합니다. 곰탕음식으로 말한다면 시작점이 순수한 무 양념국입니다. 그래야만 손님취향에 맞는 양념이 가능합니다.미리 소금하고 고추장으로 양념해서 나온다면 이양념을 제거할수는 없습니다. THD 0.1% 급의 Amp 가 가능하다는 의미는 808 출력관의 Linearity 가 좋다는 의미 입니다. 회로와 진공관의 선택으로 2차 고조파는 제거가 가능하.. 더보기
808 Amp - W2000만 조회 수: 1724, 2014-07-31 03:59:37(2014-07-21) 외부에서 처음 접속하는 분들을 의식해서 서론조의 같은 설명이 반복 됍니다. --양해 부탁합니다. ㅁㅁ유명한 300B 銘機 소리 보통 작작인에게는 들어볼수 없는 동경의 대상 이였습니다.자작? 첫째 300B 銘機 만드는데 핵심 부품 300B 하고 Tango OPT -- 자작인의 "돈" 한계를 넘었습니다. Shishido 808 은 300B 신봉자인 Shishido 씨 자신이 "300B 소리를 능가한다" 에서 저의 Shishido 808 Amp 집착이 시작 됐습니다. 眞品 808 구했습니다. OPT/IST - - 이제는 KD R-core 로 Tango 특주품 보다 더 좋은 성능 만들 자신이 생겼습니다. 이미 RSY님 -- Shish.. 더보기
808 Amp - 수출용 II 조회 수: 2062, 2014-07-21 10:23:42(2014-07-16) 이미 올린글 내용을 다시 고치고 편집도 하다가 error -mistake 가 나와서 여기로 옮겨 왔습니다. 미정리 상태로 두고 왔습니다. 독자께서 정리 해가면서 읽어주십시요.. 글쓰는데 중요 재료를 모두 한곳에 미리 올려 놓고 설명을하는 방식을 채택해 보겠습니다. 지금까지의 이야기 정리 모든 Amp 설계는 출력관 특성표에서 시작합니다. 남이 한 설계를 그대로 이용한다면 이 단계를 생략 하는 겁니다.저는 Shishido 씨의 "좋은소리" 동작점을 제가 소유하고있는 808 로 찾아서 확인하고 여기서 OPT 에 필요한 설계 Spec 을 만듭니다 (KD66 이 도착하면 그때시작할려고 합니다) Speaker, OPT Impedance .. 더보기
808 Amp - 수출용 조회 수: 1971, 2014-07-15 16:35:28(2014-07-11) 모든 Amp 설계는 출력관 특성표에서 시작합니다.Audio 용 출력관은 진공관 규격표에 사용방법이 간단히 나와 있습니다.808 은 단파 송신기 출력 증폭용으로 만드러젔지만 Shishido 씨에 의해서 Audio Amp 에 응용돼고 많은 사람에의해서소리가 좋다고 검증됀 회로도 까지 나와 있습니다. 다시 따질것도 없고 그냥 베껴서 만들면 됍니다. - 누구나 하는 방식입니다. 808 은 3극관이면서도 5극관 특성을 나타내고 Grid 전압이 + 로 동작하는 극히 예외적인 진공관 입니다. Shishido 씨가 선택한 808의 동작점은 소리를 들어가면서 정해진 것입니다. "좋은소리 동작점" 을 확인하고자 Plate 특성을 그렸습니다. S.. 더보기
808 Amp re-visited 조회 수: 1258, 2014-07-13 12:38:31(2014-07-07) Shishido 씨는 소리판단 능력이 대단한분입니다. Shishido 씨 의 808Amp 가 300B를 능가한다는 것도 저는 믿습니다. 그러나 같은 IST/OPT 를 사용하지 않는한 같은소리를 보장할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새로 최적화 한 R-core 는 저의 판단으로는 Tango의 Original 보다 좋은 특성이라고 자부합니다. 이 R-core Trans 를 중심으로 808 Amp를 다시 검토해보자는 것이 여기서 저의 의도입니다. 2년전에 독일에서 808 Amp 를 제품화해서 한정생산을 했다고 합니다. 덕분에 진공관 구하기가 더 어려워젔습니다.한국에 게시는 두분에게 4알을 보내기로 약속한것 회로가 준비 됄때 까지는 보내드리.. 더보기
13GB5 Para SE Amp OPT/6LF8 -etc 조회 수: 16486, 2015-03-26 10:53:47(2013-08-04) 출력단을 1.6K ohm 하고 3.8K ohm 의 2가지 Plate Load 로 설계를 했습니다.Load 가 3.8 Kohm 는 SE Amp 에 가장 많이 쓰이는 표준 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좋은 Linearity 를 얻기 위 해서 811/211 같은 SE Amp 에서는 10 K ohm 도 사용합니다. 여기서도 모든 특성이 높은 RL 3.8 K ohm 이 우수합니다. 다만 Grid Drive 전압 160Vpp 는 100Vpp 에 비하면 높은 수치 이지만 300B SE Amp 나 다르지 않습니다. 13GB5를 2개 병열로 하면 1.6 K ohm Load 동작점에서의 내부저항은 225 ohm 이라는 매우 낮은 값이 됍니다. 내부.. 더보기
다시보는 300B Amp - Shishido 300B 조회 수: 10202, 2013-02-14 08:16:44(2013-02-12) 거의 20년전 1994년에 Shishido 씨가 미국 Audio DIYer 지 인 Glass Audio 에 IST 를 사용한 300B Amp를 소개 했습니다. 위 회로 입니다.위 회로 에서 A1으로 동작하는 300B Drive 에 일부러 CR 대신 Trans 를 삽입한 것입니다. 그뿐입니까 - 전력이 필요없는 데도 전력 증폭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토바이로 배달 하던 것을 대형 추럭으로 대체한 것입니다.Transformer 자체가 일종의 Band Pass Filter 입니다. Trans 를 삽입 함으로서 주파수 특성이 악화돼고 Trans의 자성체 특성에서 오는 Distortion이 추가됍니다. 필요 없는 IST 를 끼어 넣.. 더보기
Phono Amp 공부 조회 수: 9519, 2015-03-01 14:42:20(2013-01-26) 로샤는 LP의 음질을 잊지 못하시고 다시 듣기를 원하시는 분을 위하여 탄생하였습니다. 인티앰프를 사용하시거나 포노단이 없는 프리앰프를 사용하시는 분은 반드시 포노앰프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포노앰프는 채택하는 등화 방식에 따라 부귀환형과 CR감쇠형으로 구분합니다. 각각의 장, 단점이 있지만 로샤에서는 CR형을 채택하였습니다. 저도 1973년 부귀환형 포노앰프 (마란츠 #7의 포노부)를 자작하여 듣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수년 후 CR형 포노앰프를 만들게 되었고, 다양한 방식의 CR형 포노앰프를 만들어 사용했지만, 다시 부귀환형 포노앰프를 만드는 일은 없었습니다. 그것은 음질에서 많은 차이가 났기 때문이며, 그당시 고급.. 더보기
앞으로 만들 300B Amp 조회 수: 6987, 2015-07-28 02:44:12(2013-01-20) 초단관 WE437A를 제외하고는 모든 부품은 한국내에서 구입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IST NC-16 는 PP용 으로 2차측을 직열로 연결해서 1:2 로 쓰고 있습니다. 참고로 좋다는 다른 300B Amp 회로도 여기에 다시 올립니다. 한국에서 구할수있는 부품으로 만들수 있습니다.제가 미국에서 비슷하게 만드러서 아무리 좋다고 해봤자 외국에서 외국인이 외국서 구한 부품으로 만든 짝퉁 Amp 입니다. 동일한 Trans 를 사용 안하면 별 의미가 없습니다.원본 회로를 올리는것이 더 의미가 있습니다. 더보기
300B Amp 설계-제작 준비 TEST 조회 수: 4047, 2015-07-28 02:39:30(2013-01-05) 제목 진공관 이름 "6LB6" 이 "BL" 로 잘못 되였습니다그리고 6LB6은 3극관 동작입니다. 더보기
R-core 자석 조회 수: 3354, 2015-07-28 02:38:01(2012-12-19) 더보기
R-core 용 권선기 만들기 조회 수: 4630, 2015-07-28 02:22:13(2012-12-08) 문제는1) Bobbin이 Core 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고2) Bobbin은 적어도 양단 3곳에서 고정되야 하고 이 고정물을 도는 바퀴로 만드러 Bobbin 을 회전 합니다. 제가 1)은 특별히 Core고정 장치를 그림과 같이 자작 할수 있슬 것 같은데2)는 그림과 같이 3개의 축에 6개의 고무바퀴 Tire 를 달고 이들을 Belt 로 연결해서 동일속도로 돌게합니다. 2축은 밑에 고정해서 Bobbin 이 편히 앉도록 하고 위의축은 올렸다 내렸다 하게 만드러서 Trans 를 삽입합니다. 현재 2) 는 자신이 없습니다. 여러분의 의견/ 도움이 필요 합니다. 더보기
Cut R-core 전원 Trans 제작 -결론 조회 수: 3687, 2015-07-28 02:20:36(2012-12-06) SK80 Core 에 이중 Bobbin 을 사용하고 큰 Bobbin (아래) 에는 1 차 위 Bobbin 에는 2차 를 사용할 수 있는 체적을 100% 활용해서 2개의 Bobbin 을 똑 같이 만들었습니다. 권선의 굵기도 SK50 보다 AWG의 수치를 하니 씩 내렸습니다. 여기서는 Volt 당 권선수가 7.17 이 되였습니다. 같은 Load를 걸고 2가지 Trans 의 coil 하고 Core 의 온도 상승을 자세히 관찰하고 같은 권선 방법은 아니지만 저 나름대로 얻은 결론입니다. R-core 는 처음부터 전원용으로 개발 된 것입니다. 원래 설계대로 이중 Bobbin 을 사용해서 2개의 Bobbin 을 동일하게 감도록 합니다.주.. 더보기
Cut R-core 로 전원 Trans 제작 II 조회 수: 7826, 2015-07-28 02:19:12(2012-12-04) "주의" R-core 는 두 Bobbin 이 동일 해야 합니다. 여기서와 같이 한쪽 Bobbin에 1차 권선을 감는 것은 R-core 에서는 옳은 방법이 아닙니다. 2013-4-10 KDK 절단한 SK-50 Core 로 31LR8 Amp용 전원 Trans 만드는 KDK 의 독자 방식입니다.7.3turn/volt 적용으로 비교적 큰 권선수가 됍니다. 가용 권선체적을 늘리기위해서 이중 Bobbin 은포기하고 1-2차 분리는 각각 다른 Bobbin 으로 하기로 했습니다.필요한 출력-----1) 31V 0.6A (18.6W) 2) 130V 240ma (31.2W) Total = 49.7W (10% power loss) –> 입력=54.. 더보기
Cut R-core 로 전원 Trans 제작 조회 수: 3546, 2015-07-28 02:17:55(2012-12-03) 현재 Load Test 중 입니다.약간 더워집니다 - 뜨겁지는 않습니다 R-core 는 두 Bobbin 이 동일 해야 합니다. 여기서와 같이 한쪽 Bobbin에 1차 권선을 감는 것은 R-core 에서는 옳은 방법이 아닙니다. 2013-4-10 KDK 자성체가 접근하면 붙습니다. 강력한 자석이돼서 N-S 극이 초당 60 번 변합니다내부 권선이 나온 것 짜르지 않고 그대로 사용/ 연결했습니다. "125V입력쪽에 저항이 3개" -- 1) 125V AC 간격유지용 (서로 접촉못하게 -- 30meg ohm 저항) 2) 하나는 Fuse 대용 다른하나는 1 ohm 전류 측정용 만든 전원 Trans Test 소감: KS-50 Core 로 .. 더보기
808 암프제작에 대한 몇가지 일반적 고려사항 글쓴 시간: 2010-01-19 14:26:59 808 암프제작에 대한 몇가지 일반적 고려사항 나의 진공관 암프 제작편력 DHT(Direct Heated Triode)를 이용한 SET(Single-Ended Triode) 암프가 유행하기 시작한 것이 언제부터 인지는 정확히 기억할 수 없으나 아마도 30년은 넘은 것 같다. 이것은 강선배께서 더 잘 아실 것이다. 필자가 대학을 졸업하고 첫 직장(산업은행 기술부)에 취직하여 주머니 사정이 조금은 호전되었을 때 만든 암프가 무궤환 211PP였는데 이것이 1974년도 전후이니까 적어도 35년은 된 것 같다. 이당시는 사실 SET가 유행인지도 몰랐고 845가 좋다는 말은 들었으나 당시 장사동 시장에서는 구할 길이 없었고 꿩대신 닭이라고 211을 택했던 것이다. 그.. 더보기
Trans 자작은 R-core 가 최고 조회 수: 5530, 2015-07-28 02:16:58(2012-11-30) Trans 자작은 R-core 가 최고 입니다1) Leakage Flux 가 EI Core 하고 비교도 안돼게 낮고2) 단면이 원이라서 권선 효율이높고 감기도 쉽고3) 원체가 전원용으로 개발 되여서 안전규격에 합격하는이중 Bobbin 이 마련 되어 있습니다. 단점은 이미 SMPS 에 밀려서 사양화 되어저서재료를 구하기가 어렵습니다.또 권선 방식이 자동권선기 전용 으로 개발돼서DIYer 에게는 Core를 절단하고 절단면을 연마 해야합니다.그래도OPT, IST, Power Trans 모두 자작에는 R-core 가 최고! 기타 고려 사항권선에 직류 성분이 있스면 자로에 Gap을 내야 합니다.그리고 절단된 Core 를 다시 원상으로 .. 더보기
火星이 소유 - 높은 Gm관 조회 수: 6228, 2015-07-26 02:54:32(2012-11-15) 6KV8은 증폭도는 좀 크지만 중요한 rp(기울기)는 작을수록 좋은데 여기서는 437A보다 큽니다.--더 기우러저 있습니다-gm 값은 비슷하고 단간 Trans 의 승압비를 437A 보다 약간 내릴수 있다면 큰 증폭도가 좋게 작용할수도 있어서버리기 전에 gm 크기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는 437A와 한판 승부를 겨룰만 하다고 봅니다. 아직도 Base가 "9AE" 로 연결이 된 복합관들 -- 6AE8 6GH8 -- 등이 많이 있습니다.여기 사진에서와 같이 "9DX" 관만 골라서 Test 해 보았습니다. Phono Amp 로 쓰는 진공관이 따로 있는것이 아닙니다 Pd 가 작아도 상관없고 동작 범위가 좁아서 Linearity 역시 문제.. 더보기
출력 트랜스 설계- 제작 조회 수: 9154, 2015-07-28 02:10:54(2012-11-09) 진공관 암프 출력트랜스 제작기진공관 암프에서 출력트랜스는 암프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이라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 이유는 출력트랜스, 혹은 트랜스 결합을 한 암프라면 신호 패스에 들어가는 모든 트랜스들이, 암프 성능의 버틀넥이 되기 때문이다. 진공관 암프에 아직도 많은 관심을 가진 동호인들을 위해 필자가 평소 존경하는 강기동 선배님이 관여하는 이 사이트에서 출력트랜스에 관한 약간의 기초적인 상식들을 필자가 아는대로 정리해 보려한다.잘 아는 대로 전원트랜스와 출력트랜스의 다른 점은 전원트랜스는 고정된 주파수에서 동작하지만 출력트랜스는 10 옥타브가 넘는 광대역폭의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해야 한다는데 있다. 전원트랜.. 더보기
다시보는 300B Amp -IV ---6C45 조회 수: 5188, 2015-07-28 02:11:50(2012-11-10) 6C45 에 하나더 추가 저의 복합관 수백개의 재고를 모두 몇일 동안 여러 가지로 특성 점검 해보았습니다. 제일 좋게나온 것은 두개의 특성이 다른 진공관을 병열로 연결한 6KV8 이였습니다. (아래 사진) 6C45 하고 6KV8 로 WE437A 의 대체 가능성이 실현화 돼는것 같습니다. 이제는 실제 Test 만 남았습니다. 저는 Test 로 한평생을 낭비? 한 것 같습니다. ***생각 못했던 것 지적 해주셨습니다. TEST-TEST*** Thank you very much 더보기
다시보는 300B Amp -III 조회 수: 3499, 2015-07-27 00:45:39(2012-10-21) 더보기
다시보는 300B Amp -II 조회 수: 4099, 2015-07-28 02:07:03(2012-10-16) Q:WE437A 특성표 Vg 전압변화에 mu변동 없으면 플레이트 전압 높게, 그리드전압 낮게 설정한이유 뭘까요? 발진 rp 직진성 등 유리할게 없어 보입니다A:RSY님 지적 V/I 특성표를 보면 당연합니다. 저의 추측입니다. Plate V/I 특성은 보지도 않고 (보아도 Scale이 커서 Ip=10ma 근처는 쓸모가 없습니다) 권위자(?)의 상식선에서 Ip = 10ma 로 설정 하고보니 Vg = -4.7v가 됐다고 봅니다. Vp는 Trans 1차 전압 강하를 무시한다면 공급전압이나 별로 다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200v x 10ma = 2W 로 Pd 는 OK 입니다. 설계에 잘못은 없다고 보는 것이지요 사용 진공관의 특성표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