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ore 의 장점 조회 수: 4140, 2015-07-28 02:04:20(2012-10-14) 일반적으로 진공관 Audio Amp의 자작 실력은 잡음제거(주로 Hum) 라고도 할수 있습니다. R-core 의 사용은 초보자 와 경력자 의 격차를 줄여 줍니다. R-core 를 Audio Amp 에 적극 추천합니다. R-core 는 형태로 보아서 Toroid Core 의 변형으로 볼수 있습니다. Leakage Flux는 대동소이 합니다. 진공관 Amp를 한다는 사람들 중에는 새로운 것은 진공관 Amp 에는 다 나쁘다 - 자기가 모르는 것도 역시 나뿐 것으로 분류 합니다. Leakage Flux 가 많이 나오는 EI core 로도 잘 만드는것이 진짜 실력이라고 볼수도 있겠습니다.모순점은 옛날것이 좋다고 찾으면서도 300B Fi.. 더보기 진공관 상식 - Hi Gm Tube II 조회 수: 4485, 2015-07-28 02:03:22(2012-10-12) 진공관 상식 - Hi Gm Tube II 5842/417A 는 Microwave 통신 장비에 많이 쓰인 진공관입니다.높은 Gm으로 자칫 하면 발진합니다. Gm 이크다는 것은rp 가 굉장히 작다는 것으로 발진상태에 대한 제어능력이 없습니다. Plate 전압이 충분하다면 12AX7, 12AT7, 12AU7 등의 정상적인 Audio용 관을 택하는것이 무난 합니다. 진공관 시대가 지나고 나서 진공관 Amp 가 살아나기는 했지만 모두가 남이 좋다는 진공관만을 사용하고 있어서 자기가 모르거나 남이 안 쓰는것은 모두 페기 됍니다. 페기돼는 진공관중에는 좋은 관들이 많이 있습니다만 특성을 알아내고 써 보기 전에는 보통 DIYer 들에게는 알.. 더보기 다시보는 300B Amp RSY 님 -- 알기쉽게 다시 교정했습니다. 위의 회로하고 비교해 보십시요. 전원회로 의 Capacitor 를 신호 통로로 옮겨 왔습니다. Signal 의 Return path 도 Supply path 하고 똑같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소리가 좋다는 회로도 올립니다. 잘못을 지적합니다.위에 올린 Shishido-300B Amp 회로도에 있는 TR1 5K-5K 는 이차측이 open 상태라서 무부하상태로 정식으로 /이론적으로는 무한대의 부하로 봐야 합니다. A1급으로 동작하는 300B grid 회로에는 전류가 흘르지않아서 입력 impedance 는 무한대 입니다.따라서 5K 로 Terminate 되야 위의 5K-5K 의 Impedance 가 성립돼는 것입니다. Transformer 에 Impedance 라는 .. 더보기 日本發 300B 熱風 -2 조회 수: 86, 2015-08-10 05:29:24(2015-08-02) 앞마당에 핀 무궁화 꽃입니다. 진공관 시대가 끝나고 일본서 시작한 300B Audio 열풍은 300B 를 신주로 모시는 종교같은 추종자 Group 이 생기면서 "High End Audio" 로 불리는 시장이 형성되였습니다. 다음 그림으로 저의 생각을 정리해봅니다. 왼쪽은 6V6 하고 2A3의 Plate Load 에 따른 출력과 2차와 3차 Harmonics 의 출력량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3극관하고 빔관 (5극관 포함) 의 Distortion 내역이 많이 다릅니다. 2A3은 RCA 가 개발한 소형 300B 라고 볼수 있습니다. 소리가 좋다는 300B SE Amp 의 특징은 2차 Harmonics 가 보통 듣는 음량에서도 1.. 더보기 오실로스코프로 앰프 출력 측정하기 조회 수: 3055, 2013-02-06 08:13:41(2013-02-06) 스코프를 이용해서 암프의 출력을 재거나 암프의 출력 임피던스(혹은 내부저항)을 재려면 먼저 테스트 셋압을 잘 해놓고 시작해야 합니다. 출력단자에 해당 임피던스에 맞는 무유도 고정저항을 달아 놓고 입력측에 시그날 제네레이터를 입력시키고 시작합니다. 우선 출력을 재는 방법부터 봅시다. 4옴 단자에 4옴 50W (혹은 10 또는 20W, 암프의 예상 출력에 따라 넉넉히 와뜨에이지가 큰 저항을 준비 합니다) 무유도 저항을 답니다. 그리고 입력단자에 시그날 제네레이터 출력을 연결하고 (동시에 스코프에도 연결합니다) 암프의 출력 (부하저항이 설치된)도 스코프의 다른 채널에 연결하여 입출력 파형을 동시에 관찰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음 .. 더보기 앰프의 출력 임피던스 (내부저항) 측정법 조회 수: 5175, 2015-01-04 20:32:10(2013-02-06) 자 이번에는 암프의 출력 임피던스, 혹은 암프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법을 말씀드려보겠습니다. 암프의 내부저항이란 스피커측에서 암프를 바라보았을때 느끼는 등가저항을 말합니다. 암프의 내부저항이 작다는 말은 암프의 부하가 변동이 있을 때 부하에 걸리는 전압변동이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암프의 내부저항이 작으면 암프에 어떤 스피커를 연결해 주어도 스피카 특성에 따른 변화에 덜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소위 댐핑팩터가 커지게 됩니다. 스피커는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가 상당합니다. 공진점에서는 노미말 임피던스의 수배가 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암프의 내부 임피던스가 너무 크면 구동력에 문제가 있겠지요. 제가 가지고 .. 더보기 출력트랜스 코아의 크기 조회 수: 1996, 2013-06-04 17:02:49(2013-06-04) 출력트랜스의 코아 크기는 최저 주파수에서도 이 전압을 유기시킬 수 있을 만큼 커야 합니다. 물론 여기에서는 동작 자속밀도를 어느 레벨로 잡아주느냐에 따라 코아 단면적이 달라집니다. 동작자속밀도를 크게 잡아주면 코아 단면적은 그 비례에 따라 작아지지만 동작자속밀도를 너무 크게 잡으면 트랜스에서 유발되는 디스토숀 레벨이 커집니다. 디스토숀을 1% 이하로 잡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하는데 그럴려면 동작자속밀도를 작게 잡아주어야 하고, 그러면 코아 단면적이 커지게 됩니다. 반면 코아를 무조건 큰 것으로 써서 너무 크면 철손이 증가하여 소위 삽입손실이 커질 것이고 코일의 길이도 길어져서 직류저항도 증가하여 동손도 커지게 됩니다. 출력.. 더보기 포노앰프 CR 감쇄형하고 NFB 방식의 차이점은 조회 수: 893, 2014-03-21 07:55:00(2014-03-21) CR 감쇄형=> CR 의 조합으로 RIAA 특성을 만들고 NFB 방식 => 출력신호를 입력단 Cathode 에 CR 조합회로를 통해서 입력 합니다. 잘만든 회로라면 둘다 소리는 같아야 하지만 CR 감쇄형은 진공관 특성이 그대로 출력 됍니다. 관심이 있스시면 둘다 만들어서 들어보십시요.이런 것이 자작의 재미 입니다. CR 감쇄형:진공관의 Linearity 가 좋아야 합니다. 잡음특성도 좋아야 합니다.진공관 특성이 그대로 출력 됍니다. (일부러 특성 나쁜관을 골라서 소리가 좋다는 장사꾼도 있습니다. 소리가 좋다니 할말은 없습니다)5CQ8 (5GH8) 로 좋은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소신호 증폭이라서 진공관의 Linear 부분에서 .. 더보기 트랜스의 임피던스 (PP) 조회 수: 752, 2014-05-23 07:44:14(2014-05-23) 트랜스에 대하여 약간의 혼란이 있는 것 같아 몇 마디 덛붙이고자 한다. 먼저 이상적인 트랜스는 강박사님이 설명하신 대로 자체적인 임피던스가 없다. (이상적인) 트랜스는 다만 권수비로만 정의될 뿐이다. 흔히 입출력 트랜스의 임피던스 표시는 권수비에 대한 다른 방법의 표기로 보아도 무방하다. 가령 일차측에서 본 임피던스는 2차측 부하에 무슨 부하가 달려 있느냐에 따라 정해진다. 가령 4K: 4Ohm 으로 규격이 된 출력트랜스의 경우 2차측에 4옴의 부하저항을 연결했을 때의 1차측에서 본 임피던스가 4K옴이란 뜻이다. 2차측에 4옴이 아닌 8옴이 연결되어 있다면 1차측에서 본 임피던스는 8K옴이 될 것이다. 2차측을 오픈해 놓고 아무.. 더보기 R-코아 출력트랜스 조건 조회 수: 650, 2014-07-31 03:31:30(2014-07-31) R코아는 전원트랜스 용이 대종을 이루겠지만 그래서 전원트랜스 용에 촛점을 맞추어 그 형태를 개발 하셨겠지만 전원트랜스와 출력트랜스는 그 목적이 다릅니다. 출력트랜스 용이라면 먼저 코아소재는 투자율이 될 수 있는 대로 높고 또한 포화 자속밀도가 높아야합니다. 그리고 철손의 주 원인이 되는 와류손을 줄이기 위해 전원트랜스 보다는 얇은 강판을 써야합니다. (높은 주파수를 다루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코아 형태도 에너지 트랜스퍼를 주 목적으로 하는 전원트랜스에 비해 자로가 단축된 모양이 필요합니다. 이상적인 형태를 고안해 내는 일은 변수가 많아 그리 간단치 않겠지만 현재 강박사님이 제안하신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그.. 더보기 출력트랜스 층간 절연관련 2015-06-16 08:20:18(2015-06-16) 층간 절연지에서 중요한 것은 절연성과 어느정도 열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 하겠지요. 그런데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유전율입니다. 유전율이 작아야 부유용량이 작아집니다. 가장 이상에 가까운 절연재료는 테풀론 이라고 생각하는데 상당히 비싼 재료입니다. 흔히 파라핀 페이퍼는 유전율이 4.0 내외인 것 같은데 테풀론은 이에 절반 정도라고 합니다. 노란 테이프등 플라스틱 제품들은 대개 유전율이 이보다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 절연성은 좋지만 층간 절연체로는 좋은 것 같지 않습니다. 전통적으로는 크라프트 페이퍼들을 사용해 온 것으로 아는데이 재료가 오히려 더 좋다는 생각입니다. 층간 절연재료의 유전율이 두배라면 부유용량도 두배가 되니까 층간 .. 더보기 300B - 출력과 부하관계 조회 수: 1564, 2015-04-09 07:58:12(2014-12-23) 남들이 쓴다고 모두들 3.5K ohm 부하를 쓰지만 더 출력을 내는 부하는 1.5 ~2.0 K ohm 입니다. 친절하게 출력관 설계정보를 숫자표로 만들었습니다.Harmonics 출력도 dB 로 나와 있습니다.도표의 dB 표시는 Output 보다 xx db 만큼 적다는 의미, 즉 -dB 를 의미합니다. 더보기 동작점- Operating Point 조회 수: 3321, 2013-11-01 02:20:56(2013-10-21) a진공관에 관해서 이것만은 알고있어야 회로를 이해하고 설계도 할수 있습니다. 동작점에 따라서, 좋은 진공관도 나쁘게 동작하고, 나쁜 진공관도 좋게 동작 합니다.설계자의 선택이고 실력입니다. 모르면 무조건 남이 좋다는 비싼 진공관만 찾아야지요. 진공관 Amp 자작은 OPT 자작 을 해야 자작 이라고 할수있습니다. 이왕 자작하는 것이면 R-core 로 해야지요. 자작 취미인은 "오디오를 잘 알게 되면" OPT 자작을 시도 하게 됍니다.OPT 가 Amp 의 핵심으로 성능을 좌우 하기때문입니다.돈이 목표이면 그반대가 됄수 있습니다. 공들인 만큼 돌아오지 않으니까요. 소전력 5극관은 Screen 전압만 외부에서 공급하면 장착됀 Step.. 더보기 네트워크 설계 - 마요 조회 수: 2187, 2014-05-06 01:41:33(2014-05-02) 요즈음 트위터 공부 한다고 이리저리 다니다가 좋은 정보가 있어서 올립니다2웨이 ... 3웨이 만드시는데 도움이 될까하고...... 좋은 재료 올리셨습니다. 처음에는 C 하나만 사용하는 6db형 이좋습니다. CL 여러개 들어가면 위상 반전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더보기 위상반전 회로 공부 조회 수: 4278, 2013-11-19 13:11:37(2013-11-18) 5GH8을 사용한 위상반전회로 입니다 초단의 케소우드 저항에 따라 그리드 전압이 바뀝니다. 여기서 전압변동에 플레이트 전류 달라지고 B+에 100K옴 로드저항이 있어서 플레이트 전압이 움직이면서 자동적으로 위상반전관 그리드 전압이 움직이고 위상반전관에 케소드와 플레이트에 36K옴이 진공관을 중심으로 전압이 걸려 있으므로 그리드 전압이 높아지면 (+쪽으로) 전류가 늘어나 진공관에 전압이 적어지고 양쪽저항에 전압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그리드 전압이 낮아지면 진공관에 전류가 줄어들어 진공관의 전압 (케소드와 플레이트 간) 이 높아져 양쪽 36K옴 에는 전압이 낮게걸리는 5GH8의 특성곡선 을 이용한 PK 분할 위상반전이 정확하게 이.. 더보기 6LR8 Amp 만드렀습니다. 조회 수: 3108, 2015-07-28 01:43:49(2012-09-05) 더보기 Shishido 씨의 걸작 Amp, 805 조회 수: 5006, 2015-07-28 01:22:31(2012-09-29) Shishido 씨의 걸작 으로 DIYer 들이 자작 가능한 대출력 SE Amp 입니다. 미국에서 WE300B AMP의 대가로 알려졌던 Shishido 씨 자신이 300B 보다 더 좋다고한 808 Amp 의 대 출력형이 바로 805 Amp 입니다. 첫째 제 마음에드는 회로이고 300B 나 808 Amp는 출력이 10W 급 이지만 이 805 Amp는 45W~50W 라는 큰 출력으로 고 감도가 아닌 현대 고급 speaker 를 여유있게 구동 할수가 있습니다. Shishido씨 설명으로는 초단관에 WE437A 를 사용해서 Amp 소리가 한단계 더 완벽해 젔다고 합니다.WE437A전에는 12AU7, 12AT7 를 SRPP 가 아니면 .. 더보기 SE Amp 출력단 설계도 조회 수: 5631, 2012-10-08 16:22:50(2012-10-06) 21KA6 (3극관 접속) SE Amp 출력단 설계도 입니다출력단 설계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여기에 있습니다.여기에 있는 모든 사항을 완벽하게 익혀 주십시요 자세한 설명은 "화성인이 만든 Amp #3" 을 보십시요. RSY:벌써 답을 주셨는데 깨닫지 못했습니다. 6.3K=730V/0.116A 인것 같습니다. 잘 모르지만 설명해 보겠습니다. 먼저 3.4K ohm Load 입니다. P 출력 =녹색부분 삼각형(abc)X1/4 = (b부분 플레이트 전압 510V -처음 65V) X(a부분 P전류 0.138A- c부분 0.006A)/8=7.34W 8 에 대해서 설명 처음 녹색부분 1/4가 P out 라고 하셨는데 밑에 전압, 전류 곱하.. 더보기 출력 Trans -Extra 조회 수: 6352, 2015-07-28 01:56:34(2012-09-17) “火星人이만든 Amp #5” 를 보완한 글입니다. Transformer 이야기 Transformer 는 2 Way Device 로 적어도 2개의 권선이 있습니다,하나는 Input 가 되고 나머지는 Output 가 됩니다. Output 에는 Load 가 연결 됩니다.신호나 Power 의 흐름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정하는 것입니다.( Auto Trans 는 공통되는 두 권선이 합친 상태 ) 전원 Trans110V AC input, 220V out put 의 Trans 를 예로 들면– 미국에서 220V 용으로 만든 기계를 쓸려면 위의 Trans 를 사용 합니다.꺼꾸로 한국에서 미국에서 쓰는 110V 용 기계는 110V A.. 더보기 21LR8PP 암프제작기 (II) (실물 사진) 조회 수: 1135, 2014-05-27 11:35:56(2014-05-27) 이 암프 회로는 이미 강박사님 께서 올려 주셨고 CBR님 께서 잘 그려주신 것이 있으니 참조 바란다. 보시다 싶이 회로는 QUAD II 회로와 거의 대동소이 하지만 UL 접속한 것이 다르고 초단증폭/위상반전에 5극관이 아닌 3극관을 채용했다는 점이 다르다.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보통 싸이드 브렌취 회로는 위에 회로에 보인 것과 같이 R3와 R4의 접속점을 접지하는 것이 보통인데 QUAD II 회로에서와 같이 NFB에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싸이드 브렌취 회로에서는 R3(570K) + R4(11K) = R5 (570K)로 하는 것이 보통인데 여기서는 이를 무시한 셈이다. 그러나 그 차이가 그리 크지않기 때문에 그냥 두었다.. 더보기 21LR8 PP암프 제작기 (I) 조회 수: 885, 2014-05-28 13:44:36(2014-05-25) 21LR8 PP 암프 제작기 (I) 언젠가 이 싸이트에서 Blue Tube Audio라는 작은 업체의 암프사진을 본 적이 있다. 8W 출력의 4구 혹은 6구의 두가지 버젼이 있는 작은 암프였는데 원목으로 만든 암프의 캐비네트가 꽤 인상적이었다. 성능상으로는 그리 보잘 것이없어 보였지만 외관만은 매력적으로 보였었다. 그래서 나도 한번 자그마한 암프를 만들어 보자고 시작한 것이 이번에 제작을 시도한 동기가 되었다. 여기서 Blue Tube Audio의 암프와 비교하여 출력은 같지만 주파수 특성이나 기타다른 성능은 이 암프를 능가하겠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자면 무엇보다도 중요한 출력트랜스는 R코아를 채용해야 할 것이다. 마침 .. 더보기 카플링 캪과 암프의 음질 조회 수: 1386, 2014-03-12 13:42:17(2014-03-12) 진공관 암프 애호가 혹은 오디오 애호가들 사이에서 카플링 캪이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아마도 그 언젠가 (80년대인지 90년대 인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월터 영(Jung)이란 오디오 엔지니어가 미국 오디오 잡지에 이에 대한 아티클을 계재한 이후부터 일 것이다. 지금은 그 아티클의 내용조차 생각이 나지 않지만 내가 제기하고자 하는 것은 이 현상이 비교적(?) 최근의 일이란 사실이다. 그런데 카플링 캪이 정말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음질 차이를 가져 올 수 있을까?내가 보기에 여기에는 정답이 없을 것 같다. 그 이유는 오디오가 단지 기술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 때문이다. 오디오는 음향심리학의 문제이기도 해서 자기 자신.. 더보기 3극관, 5극관 그리고 초3결 (II) 조회 수: 1732, 2014-01-14 10:39:05(2014-01-14) 필자가 더 계속하기 전 분명히 지적해 둘 것이 있다. 필자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초3결을 폄훼하려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필자는 이 회로의 발명자인 가미조 상의 실험정신을 높이 평가한다. 우리나라 오디오 애호가들 중에도 이런 실험과 도전정신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있다. 각설하고… 앞서 언급한 대로 필자의 의문은 초 3결 회로가 통상적 5극관 싱글, 그리고 3결한 5극관싱글, 초3결한 5극관 싱글을 비교했을 때 어느 만큼의 성능향상을 볼 수 있는가에 있었다. 인터넷에서 이 초3결 회로에 대한 오디오 애호가들 간의 논의를 모아 놓은 싸이트를 본 적이 있다. 회로의 성격에 대해 어떤 사람은 롭틴 화이트 회로와 .. 더보기 3극관, 5극관 그리고 초3결 (I) 조회 수: 3645, 2014-01-13 23:34:27(2014-01-13) 일반적으로 3극관은 내부저항이 작고 직선성이 좋아 왜율이 적고 그래서 소리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3극관을 출력관으로 사용할 경우 그릿드에 대단히 큰 전류스윙이 요구되기 때문에 3극관은 일반적으로 드라이브 하기가 힘들다. 반면 5극관은 효율이 높고 드라이브 하기가 3극관보다 쉽지만 왜율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내부저항도 매우 크다. 여기서 한가지 언급하고 지나가야할 것은 많은 진공관 애호가들이 작은 내부저항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외면하는 경우를 보는데 이는 생각보다 중요한 요소다. 출력관으로 내부저항이 작은 관을 쓰면 출력트랜스 설계가 쉬워진다. 저역에 요구되는 1차 인닥탄스가 작아져서 권수를 줄.. 더보기 피어리스 출력트랜스의 환상적인 성능 조회 수: 2632, 2014-01-15 09:19:28(2014-01-11) 내가 알고 있기로는 피어리스는 파트리지라는 사람이 세운 회사다. 파트리지는 출력트랜스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것으로 안다. 자신의 학위논문을 기반으로 해서 회사를 설립한 셈이다. 이 정도 성능의 출력트랜스는 지금의 기술로도 그리 쉽지 않은 것 같다. 출력트랜스를 감은 다음 한가지 쉽게 테스트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누설 인닥탄스를 재 보는 것인데 2차측을 오픈하고 재면 1차 인닥탄스가 나온다. 2차측을 쇼트하고 재면 누설인닥탄스가 나온다. 피어리스 트랜스 회사의 기준으로는 1차 임피던스 KOhm당 1 mH 혹은 그 이하라야 한단다. 이것이 상당히 달성하기 어려운 길 같았는데 본인이 난생처음 감은 출력트랜스가 4ohm:..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