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공관 암프가 좋은 소리를 내는 이유? 조회 수: 2692, 2013-08-19 16:55:41(2013-08-19) 진공관 암프 소리가 좋은 것이 출력트랜스가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맞지 않은 주장이다.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을 출력트랜스가 막아주는 것이 아니다. 진공관 암프가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역기전력의 영향을 덜 받는 것은 출력트랜스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진공관 암프는 일반적으로 부궤환이 트랜지스터 암프에 비해 매우 약하게 걸려있기 때문이다. 진공관은 그 소자 자체가 트랜지스터에 비해 직선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디바이스 자체의 직선성이 좋지 않은 트랜지스터에 비해 다량의 부궤환이 필요하지 않다. 한편 진공관은 소자 자체가 트랜지스터와 같은 다량의 이득을 구현할 수 없다. 그래서 다량의 부궤환으로 인한 이득의 감소를 수용하기가.. 더보기
LP가 CD보다 음질이 좋다?! 조회 수: 3359, 2013-08-22 01:32:15(2013-08-20) LP가 CD보다 음질이 좋다 ?! 실제에서는 가능합니다. 그러나 기술적인 원리에 입각해서 LP를 자전거에 비유한다면 CD는 자동차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LP는 원시적인 기술입니다. LP는 아날로그 기술이고 CD는 디지탈 기술입니다. 일반 사람들은 아날로그 기술과 디지탈 기술이 어떻게 다른지 감이 없으면서도 새로운 것이면 무조건 디지탈이라고 합니다. 많은 경우 전혀 엉뚱한 것을 가지고 디지탈에 비유합니다. 특히 한국 정치인들 가운데 이런 작자들이 많은데 서구 정치인들에 비해 한국 정치인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소양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을 많이 느낍니다. 특히 좌경한 민주당 사람들 가운데 이런 자들이 많다는 것을 가끔 느끼곤 했습니.. 더보기
내가 만든 36LW6 PP 조회 수: 7329, 2013-03-02 12:38:55(2013-02-28) 최근 완성한 36LW6 PP 암프 사진 입니다. 초단은 캐소드 카플드 위상반전 회로이고 드라이버단은 차동 증폭기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시간 나는대로 제작기사를 올려 보겠습니다. 36LW6 SET 암프의 성공적인 제작을 마치고 보니 같은 진공관으로 푸쉬플 암프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싱글 암프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푸쉬플 암프라면 시큰둥 하겠지만 싱글은 싱글대로 푸쉬플은 푸쉬플 대로 장단점이 있다는 생각이다. 마침 싱글 암프용 출력트랜스를 위해 구입해 두었던 C코아 한쌍이 남아 있어 푸쉬플 출력트랜스를 자작해 보기로 하고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본기의 설계 목표는 사용자가 장기간의 사용에서도 특별히 재조정할 필.. 더보기
PP용 출력트랜스와 싱글용 출력트랜스 비교. 조회 수: 3902, 2013-04-24 23:50:41(2013-02-13) 출력트랜스를 설계, 제작하시려는 분들을 위해 하나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일차적으로 제작한 출력트랜스의 성능의 목표치를 아래 소개한 제품으로 삼아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PP용 출력트랜스와 싱글용 출력트랜스를 비교해서 소개합니다. 제작사는 카나다의 Plitron사이고 모두 토로이달 코아를 사용한 트랜스들입니다. 300B 싱글용: PAT3050SE 무게 5.4 Kg, 크기 직경 152.4 mm, 높이 88.9mm, 원통형출력 13W, 1차 인닥탄스 40H, 누설인닥탄스10mH, 부유용량:1200pF 주파수 특성: 5.3Hz-45.3KHz, -1dB EL34 para PP용: PAT4008 무게 2.5Kg, 크기 직경125mm, 높.. 더보기
암프의 두가지 설계철학 조회 수: 2301, 2013-02-16 05:56:55(2013-02-16) 피아노는 현악기인가 아니면 타악기인가? 피아노는 현이 있으니 현악기로 볼 수 있고 그 현을방망이로 쳐서 소리를 내니 타악기로도 볼 수 있겠다. 유명한 피아노로 보센돌프와 스타인 웨이가 있다. 피아노 조율사로부터 지나가는 말로 들은 이야기인데 보센돌프는 피아노를 현악기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피아노를 만들었고 스타인 웨이는 타악기라는 관점을 가지고 피아노를 제작했다고 한다. 그래서 보센돌프는 피아노 몸체를 현악기와 같이 울리도록 만들어서 마치 노래하는 듯한 소리를 내게 만들었고 반면 스타인웨이는 피아노 몸체는 음향학적으로 단단하게 만들어서 울리지 않도록 하고 다만 사운드보드 에서만 소리를 만들도록 한다는 것이다. 보센돌프는 빅터 .. 더보기
서병익 오디오의 주장에 대한 나의 생각 조회 수: 4133, 2013-01-27 04:21:43(2013-01-26) 12AX7에서 발생하는 짝수파 지그러짐을 제거하지 않고 오히려 증폭해서 '음악성'을 높였다?이런 주장은 진공관 암프 제작자들이나 특히 싱글암프 제작자들로부터 가끔 듣는 소리다. 그러나 조금 깊이 생각해 보면 이해하기 힘든 주장이기도 하다. 암프에서 짝수차이건 홀수차이건 고조파가 발생하는 것은 암프의 비직선성에 기인한다. 암프의 입출력 특성이 완전히 직선적이라면 고조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가령 증폭단의 입출력 특성에 약간의 스퀘어로 비 직선성이 있다면 (즉 입력신호의 자승 성분이 출력에 나타나는 경우) 이것이 제2 고조파를 발생하게 된다. 흔히 진공관 증폭단은 제2 고조파 성분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흔히 암프는 다.. 더보기
A1 - 808 Amp - 제6부 Power Trans -- 53478 조회 수: 1882, 2014-07-13 07:48:05(2013-12-24) Filament/ Heater 용 Trans 를 독립 시켰습니다.하나의 Trans 에 모두 감으면 약간의 능률 이득은 있지만 권선의 종류가 너무 많아저서 배선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1차는 큰 Bobbin 에 감고 2차는 속에들어가는 작은 Bobbin 에 감습니다. B, C 전원은 두 권선을 A-B 두 Bobbin 에 반씩 분산해서 감고 모두 직열로 연결하고 A 전원 은 두 Bobbin 에서 6.3V , 15V(CT) 가 따로 독립 돼서 나옵니다. B 전압은 출력관용 370V 하고 Driver 단 200v 를 분리했고 정류 방식도 170V 는 배전압으로, 200v 하고 40v 는 Bridge 로 양파 정류 합니다. A 전원 6... 더보기
A1 - 808 Amp - 제 5 부 -808 직류점화 --53368 조회 수: 2033, 2014-07-13 07:53:01(2013-12-21) Shishido 씨의 정류회로는 첫 시도에서 전압은 제대로 안 나오고 Bridge 에서는 많은 열이나서 입력전압 전류용량 증가하고 열에 견디도록 대형 Bridge로 대체해서 문제 해결을 한 것 같습니다. 매우 비 효율적인 부품/회로 선택이지만 동작 잘하고 막대한양의 열이 808 에서 나오는데 이정도의 열이야 --- 별로 신경쓸 이유도 없었슬겁니다. 저로서는 더 좋은 방법이 있는데 그냥 지나칠수가 없네요 저전압 고전류 정류에 Silicon bipolar 정류소자는 Forward 전압 강하가 커서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특히 정류 전류가 2개의 정류소자를 통과 하는 Bridge 회로에서는 더욱 좋지 않습니다. Schottky 정류.. 더보기
A1 - 808 Amp - 제 4 부 -- 53282 조회 수: 1760, 2014-07-13 07:54:21(2013-12-19) 위의 3 가지 대체복합관 모두 동작 잘 합니다. 모든 Plate 에 공급하는 고 전압을 370V 에서 공급하다보면 필요이상의 전압이 Plate 에 걸려서 진공관의 내부 손실이 증가 (온도 상승) 합니다. Driver 관 으로 사용한 6L6GC 가 이런경우에 해당합니다. 큰 Pd 의 출력관을 택해서 나름대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저는 항상 진공관 수명이 우선이서 저항으로 전압을 강하해서 낮은 전압 을 진공관에 공급합니다. 이런경우 전원 RC Filter 와 같은 전압 강하를 위한 Filter 를 한단 설치 합니다. 진공관 Plate 가 감당하는 열을 Power Resistor 로 옮기는 것입니다. Power Resistor.. 더보기
A1 - 808 Amp - 제 3 부-- 52781 조회 수: 2041, 2014-07-13 07:55:34(2013-12-12) 몇년전에 만들때도 느꼈지만 대형 출력관을 꼭 Driver 관으로 사용해야 하나 -- 에 의문이 갔습니다.그 당시는 충실하게 6L6 을 3극관으로 연결 해서 만드렀습니다. 9.5W 의 전력이 Driver 관에서 소비 돼고 있습니다. Shishido 씨 해설로는 여러 진공관을 교체하면서 Test 한결과 12AT7-6L6(3극) 이 제일 좋은 소리를 내주었다고 했습니다. IST 의 1: 0.8 도 6L6 (3극) rp 를 800 ohm로 추정해서 정해젔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6L6 의 3극관 결선시의 rp 값은 진공관 규격표에 1.7 K ohm 로 나와 있습니다. 증폭율 mu 도 8 입니다.저의 6L6 WXT Sovtek 실측치는.. 더보기
A1 - 808 Amp - 제 2 부 --52457 조회 수: 2240, 2014-07-13 07:59:06(2013-12-07) 댓글이 너무 많아서 제2부를 만드렀습니다. 초보자에게는 어려운 Project 입니다. 그리 알고 참여 하십시요. Shishido 808 첫작품 에 "재미있는 것" 을 발견해서 회로도 를 아래에 올렸습니다. 0.0047uF + 33K ohm 그리고 10D10 diode 입니다. 발진에 고생한 흔적입니다. 6DJ8 은 rp 가 낮습니다. 이관을 높은 전류에서 mu 의 최대치가 나오는 SRPP 회로를 사용해서 발진 한 것 같습니다. 6AG4 의 Plate Load 5K 는 잘못이고 6AG4 가 보는 Plate Load 는 NC-10 을 통해서 연결됀 0.0047uF + 33K ohm 입니다. 특정 주파수에 대한 감쇠 작용을 이용해서.. 더보기
A1- 808 amp -- 51300 조회 수: 3635, 2014-07-13 10:18:15(2013-11-26) 참여한다면 환영합니다. 아래 site 에 가보십시요. http://www.youtube.com/watch?v=CNwhTgtx_4k Shishido Koichi -- 미국서는 Nobu 로 불려진 진공관 Amp 애호가로 경제학을 공부한 사람입니다. . 송신관을 사용한 Amp 의 선구자로 진공관Amp 책도 출간하고 기술지식도 전문가급입니다. 영어도 잘하고 Las Vegas Audio Show 에서 만난일이 있습니다. 이분은 한때 300B Amp "大家-대가"로 알려졋지만 808 Amp 를 만드러보고는 "300B Amp 는 저리가라" 라고 해서미국에 있던 808 은 일본에서 싹쓰리 해 갔습니다. Ham Swap 시장에서 $5 정도로 .. 더보기
진공관 정보 7963 조회 수: 1910, 2014-03-07 00:26:54(2013-11-23) 미래의 진공관입니다. TR 의 발명으로 미래는 없어지고 1980년 말에 이 진공관을 사용한 핵무기와 함께 페기처분 됐다고 봅니다. Linearity 가 우수하고 특성이 매우 균일합니다.Plate 전압 10~20V 동작이 가능해서 반도체용으로 개발됀 현대 고성능 부품을 진공관 회로에 사용할수 있습니다. Audio Pre Amp 관으로는 WE437A 보다 더작고 더 저 전력 동작이 가능 합니다.저 혼자서 보고 즐기는 역사적 진공관입니다. -- 이 진공관은 진공관 시대 말기에 군용으로 개발돼서, 진공관에 관심있는 저도 모르고 있던 Hi gm 초소형 관 입니다. 아직은 이 진공관에 관심있는 사람이 없습니다. 더보기
6LR8 회로--설명 조회 수: 2468, 2013-08-08 04:39:21(2013-07-10) 위의 출력관 Plate 전압이 좀 이상하고 OPT의 1차 저항값이 너무 높습니다 -- 확인 해 보겠습니다 kdk 전에 전원부 Check 하면서 R9 을 제거하고는 더 진전이 없었습니다.전체 회로 설명부터 하겠습니다. 5극관의 출력단 설계는 Plate 와 Screen grid 최대 손실 전력을 초과하지않는 한도내에서Control Grid 의 Bias 전압을 정하면 됍니다. 3극관에서와 같이 Plate Load 를 따질수도 없습니다.(5극관의 rp 는 Plate 곡선에서 정확히 알아낼 수도 없는 매우 큰 값입니다.) 여기서는 Bias 전압이 -23V 입니다. Driver 관이 공급 해야할 신호 Drive 전압은 peak to pe.. 더보기
거미줄 과 진공관 Amp 조회 수: 2025, 2013-07-08 01:03:03(2013-07-05) 거미줄을 한번 잘 관찰해 보십시요. 도저히 상상도 할수없는 곳에 반듯하게 줄을 치고 먹이를 기다립니다.거미줄의 간격이나 한줄 한줄 모두 팽팽이 연결 돼서 늘어진 줄은 하나도 없이모든 부분이 거미줄 집짓기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한 곳에 먹이가 걸리면 전체에 신호가 전달 됍니다..즉 거미줄 구성요소 모두가 약간씩 참여하여 거미줄 어느곳에 있어도 변화가 전달 됍니다. 전통 진공관 Amp 가 바로 이런 식으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AC 입력에 변화가 생기면 바로 진공관 동작점이 달라지고 따라서 소리가 달라집니다.저항을 바꾸거나 Capacitor를 바꾸어도 소리가 달라집니다.(여기서는 전원 Trans 의 3권선의 순서를 바꿉니다) 저는 .. 더보기
나의 "Chassis-less" 공법 조회 수: 1597, 2013-06-28 05:44:00(2013-06-27) 1) --양면 PCB 를 사용하면 접지선을 아무데서나 고정할수있습니다. ( 60Hz EI trans /choke filter 를 사용하면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2) "ㄱ"자 Aluminum 막대기 사용3) 굵은 AWG#16 선으로만 만든 구조물 -- 고층건물 뼈대 만드는 방식4) 얇은 나무판 (4-5mm)사용 -- 400V DC 이하이고 열이 안 나는 부품 조립 에 사용 특별히 설명을 안 해도 그림으로 알아 볼수 있슬겁니다. 더보기
Ultra linear PP Amp 조회 수: 2182, 2013-05-22 01:53:34(2013-05-16) 3극관 하고 5극관의 장점을 따서 만든 회로 입니다. 5극관은 3극관 역할도 하지만 3극관은 5극관 역할을 못합니다. 출력이나 가격이 더 우선인 Commercial Amp 에서는 이 회로에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위 도표는 OPT 자작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 입니다. Tapping Point 를 43% 를 하는것이 제일 좋다고 하고 있지만 OPT 를 만들다 보면 50% Point 가 일부러 Tap 을 안내도 외부에 Tap 으로 나오게 됍니다. 1952년 이후로는 저명 Audio Amp 제품들이 모두 이 방식에 기초를 두고 개량한 것입니다. 더보기
만들기쉬운 PP Amp 조회 수: 3512, 2013-04-01 01:02:50(2013-03-27) 0.5% 전후의 THD라서 THD내용을 따지는것은 별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까다롭게 따진다면 여기에 사용한 Inverter 회로는 완벽한 대칭이 아니고 PP출력관은완전 Matching 이 돼여야 하지만 이런것 모두 무시하고 THD 1% 가 쉽게 얻어 젔습니다. 1% 의 THD 는 파형을 보고 판단할수 없습니다.그러나 Sine 파의 위 아래 끝이 납작해 지는것은 보고 쉽게 알수 있습니다.특별한 측정 장비는 없더라도 Sine 파 발생기하고 Oscilloscope 는 필요합니다. 더보기
2nd Harmonics Rich 5AQ5 PP Amp 조회 수: 2504, 2013-03-24 14:53:57(2013-03-23) My test circuit should produce 10W of power in a PP topology. 6V6 PP - P/K split resistor inverter -voltage Amp with a mu of 70 will do the job. After a long search, I settled with a 9-pin 6LF8 compactron. When the pentode section is connected in triode mode it has mu = 25 and rp = 5 Kohm (checked with my curve tracer). It will work fine for the phase .. 더보기
Linearity Factor- LF 조회 수: 2886, 2013-03-27 14:12:42(2013-02-22) Load resistor 의 크기 와 동작점의 선택에 따라서 Lf 값이 달라집니다. 요사이는 Distortion Cancel 이 아니고 도리어 추가하는 설계를 합니다 제가 10 여년전에 만드러낸 개념으로 특허를 낼려다가 지난시대의 진공관의 Graphical design 으로 돈만쓰고 특허를 딴다해도 처다볼 사람도 없슬것 같아서 고만두었습니다. 더보기
Nirvana, Jordan JX92S 조회 수: 3576, 2013-02-04 00:57:16(2013-01-31) 옛날에 3-Way Speaker 의 주파수 특성을 평탄하게 조정 하는데 많은 고생을 했습니다.이 Speaker 는 그런 고생 안하도록 하나의 Speaker 이지만 특성이 아주 좋습니다. 인상적이여서 여기 올립니다. SPL이 90dB 가 약간 모자라지만 충분히 300B Amp 에 쓸수 있습니다. 저역 특성이 좋아서 저음역도 잘 나올것입니다. 다만 출하 하는 Speaker 특성이 모두 여기에 나와 있는 특성과 같은지 의문이 가기는 합니다. 악기 모양으로 만든 나팔 Speaker 입니다. Speaker 에 따르는 것이 Amp 입니다.여기서는 Amp 없이 Pre Amp 가 직접 Speaker 를 구동 하고 있습니다.거창한 Speake.. 더보기
소노다인 SD-855 조회 수: 2011, 2013-01-30 09:08:04(2013-01-30) 한국인의 자존심과 명예를 걸고 도전25년만에 세계적인 한지콘 유닛을 게발하였다. 임피던스 : 8옴 음압 : 93dB 저음하한점 : 50Hz 허용입력 : 130W 바스켓 외경 : 223mm1조 : 65만원 소노다인은 서너 종류의 8인치 유닛을 만들고 있는데, SD-855는 그 중 하나입니다. 8인치 크기임에도 중고음 쪽 특성마저 매우 좋은데, 2웨이를 만들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입니다. 이런 경우, 반응이 매우 빠른 만큼 일반적인 실크 트위터보다 고성능 리본 트위터와 매칭하는 것이 더 합당한데, 이렇게 고성능 미드/우퍼, 또는 고성능 우퍼로서의 특징을 많이 갖고 있음에도 기기밥은 먹지 않습니다.--------------------.. 더보기
Feastrex-Full Range Speaker 조회 수: 2710, 2013-01-30 14:03:48(2013-01-27) Ebay 에 $9,670 으로 나와 있습니다. 일본제로 SPL이 104 dB-1w/1m 로 대단한 Speaker 입니다 9” Fullrange speaker Magnet Circuit Netureflux Field Coil Diaphragm Hand Crafted Washi Nominal Impedance 16 Ohm Sensitivity, 1W/1m* 104db @ 1KHz Power capacity, RMS* 15W Power capacity, Peak* 25W Frequency Range (±3db)* 35Hz – 25KHz Magnetic Flux Density 1.6T Net Weight, 8.5Kg (18.7lb) .. 더보기
日本發 300B 熱風 조회 수: 67, 2015-08-02 02:03:07(2015-07-26) Under construction! 글쓰는 과정에서 잘못해서 지워지는 일이 있어서 중간중간에 미완성 글이 올라갑니다 -- 양해 부탁합니다.**************************************전에 연재한글 재 정리 했습니다. 1975년에 끝난 VIET NAM 전쟁에서 COLLINS 사의 진공관식 통신장비들이 많이 시용됐습니다. 급속도로 발전한 반도체부품으로 민생 부문에서는 진공관식 Radio/TV 생산이 끝이난 후에도 미 정부에서는 계속 군용 통신장비 보수용으로 진공관을 사 재고 있섰습니다.그 당시 만해도 장거리 통신에는 단파통신에 의종 했고 미국 공군이나 해외 외교 공관은 비상시에 시용할 Collins 사의 진공관.. 더보기
300B 보다 더좋은 진공관 개발 조회 수: 121, 2015-07-25 09:47:10(2015-07-19) 저의 경험을 중심으로 ----- 초기 진공관은 DHT - Directly Heated Triode - 였습니다.(예 - 300B) 진공관이란 새로운 시대가 열리자 전세계의 최고 두뇌들이 미국으로 몰려와서 DHT 로 시작한 진공관 개량/개발이 시작 됐습니다. Direct Heating 은 원통형 Cathode 속에 전기적으로 절연해서 Heater 를 설치한 Indirect 가열 방식으로 -- 3극관 은 Grid 를 더 추가해서 4극, 5극, Beam 관으로 발전했습니다. 여기에 따라온 전기적 부작용도 모두 해결했습니다. "개량, 개발, 발전" 이란 전보다 더 좋은 것을 만드러 냈슬때 붙일수 있는 표현입니다, 전 보다 못하면 바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