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ssis-less 11LQ8 pp Amp 조회 수: 1343, 2014-12-10 19:05:15(2014-11-21) SMPS 중심으로 Chassis 없는 Amp 를 좀 색다르게 구성해 보았습니다. 모든 치수가 맞아야 해서 쉬운작업은 아닙니다.배선줄은 Trans 권선이 밖으로 나온 연장 이라고 생각하면 적당한 굵기를 알수있습니다.Heater 선 외에는 전류가 문제가 않돼서 #30 Kynar 배선줄을, 저항도 1/8 W를 많이 사용했습니다.Speaker 선은 OPT 에서 바로 Terminal 로 갑니다. Trans 권선은 냉각효과가 없는 내부에 사용 돼지만 배선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좀 가늘어도 10-20 cm 정도 는 상관 없습니다. 또 다른각도로 본다면 10 Kohm (오차 1% = 100 ohm) 에 연결하는 0.01 ohm 배선줄하고.. 더보기 KYJ GM70 SE Amp 조회 수: 1114, 2014-10-28 01:42:56(2014-10-07) 새로 포지그림 올렸는데 옛그림이 계속 나옵니다 일단 저에게있는 정보는 여러개로 분리해서 댓글로 다 올렸습니다 ----- KDK GM70 Single 암프 제작기 KYJ “A Poor man’s Ongaku Amplifier”이 사이트에서는 상당 기간 동안 강기동 박사님의 주도아래 지금은 고인이 된 일본인 시시도 씨의 808싱글 암프 복각판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그 결과로 몇몇 분들이 제작에 착수하였고 이미 시작품을 완성한 분도 계신다. 시시도 씨의 주장에 따르면 이 암프는 싱글 암프 중 가장 유행하던 300B 암프를 능가하는 음질을 가졌다고 한다.필자도 808 암프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고가의 808을 구입하기가.. 더보기 중저음을 만드러내는 Amp 조회 수: 1118, 2014-08-16 23:01:22(2014-08-15) 여기서 중저음 (重低音) 은 중저음(中低音) 이 아닙니다. 고성능 Speaker 도 40Hz 이하는 감쇄가 심합니다.20Hz 는 귀가 듣는 소리라기 보다는 몸 전체에 전달돼는 일종의 기계적 진동입니다. 1) 고성능 Amp 에 20Hz 의 신호가 들어 왔습니다. 이 Amp 는 20Hz 신호를 충실하게 Speaker에 전달합니다. 20Hz 진동이 몸에 전달 됩니다. 창이 울립니다. 소리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Speaker 가 20Hz 를 재생 못하면 아무 소리도 나지 않습니다. (Speaker harmonics 무시하면) 2) 저역 (150Hz이하) 에서 Distortion 이 큰 Amp 에 20 Hz 신호를 입력합니다.이 Amp.. 더보기 13GB5 PP 제작 조회 수: 1116, 2014-06-24 10:17:53(2014-06-23)씽씽오리이번 모임에 소개하려고 급하게 만들어 가지고 갔습니다박사님께서 300B와 흡사한 특성을 가진 진공관이라 하여 13GB5 PP를 제작하였습니다초단은 12AU7를 OPT는 R core 자로단축 KD-55를 사용했구요 고정바이어스에 출력관 케소드전류는 50mA, 전원전압은 310V, 최대출력은 15W*2 입니다300B SE 와 소리결을 비교해보니 제귀로는 구분하기 어려웠습니다 (스피커는 JBL)저역과 고역에서도 300B SE보다 힘있게 느껴졌습니다 진공관 에이징이 더 된다면 보다 낳은 소리를 들려줄것 같습니다13GB5 SE 소리가 궁금해져서 이번에는 para로 제작해 보겠습니다완성되는데로 PP 와 SE 특성도 함께 올리겠습니다.. 더보기 R-core 준비 조회 수: 848, 2014-06-11 03:53:08(2014-06-07) Inductance 값은 120 Hz 에서 쟀습니다.KD29는 과잉 단축 한 값입니다 정상은 1mH 정도가 됄겁니다. R-core 의 절단 부작용을 극복 하는 겁니다. PP OPT 에서 위의 Inductance 가 저역특성을 보장하고 Leakage Inductance 가 최소화 돼서 고역이 괸장히 많이 확대 됍니다. SE Amp 용 OPT 는 1차 권선에 직류가 한쪽으로만 흘러서 교류신호 에 대응 하는 자속이 많이 줄어듭니다. 짧은 공기층을 삽입해서 포화를 피하지만 Trans 의 출력 능률은 많아 저하합니다. 진공관 전성기에는 SE 방식은 소 출력 가정용 Radio 출력단에 주로 사용 했습니다. ㅂ 더보기 Distortion Curve 조회 수: 2145, 2014-05-31 03:42:54(2014-05-28) (4) 는 잘 나타나지않는 특성입니다 별안간에 Distortion 을 잴수 있는 분이 여럿 나오셨습니다. Distortion Meter 는 spot checking 보다는 Curve 만드는데 사용 하십시요 "Amp 소리 좋다" 로 그칠 것이 아니라 적어도 전기특성은 이렇다 ---- 로 발전했스면 좋겠습니다. 1) 동작점을 명시한 회로도2) 주파수특성,3) Distortion 특성,4) 구형파 응답 특성 기타 많이들 쓰는 형용사 (많을수록 좋은 Amp ???) 를 나열합니다.한국서 많이 사용하는 형용사들 아시는분 올려주십시요----3극관 SE Amp 에서는 Linearity Factor Lf 로 조절합니다. Lf 는 Plate .. 더보기 대단한 ㅡMayo Amp 조회 수: 1644, 2014-07-21 21:13:28(2014-05-20) 대단한 Amp 입니다.최종 회로도 올려주십시요 Driver 단 삽질좀 했스면 하는 생각입니다.제가 못한 것을 대신 해주시는 겁니다. 위 회로도 입니다 --- R1-> 5K, R2->1K 가 좋을것 같습니다. --- Mayo 처음으로 3극 Plat 특성을 체크 했습니다올바르게 되었는지 . 밑에 그림과 비교하니 비슷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도 진공관이 만들어 졌었군요..언제 만들어져서 어떤 용도로 사용 되었슬까요?전에 para x 3 자작할 쩍에 위 tube 를 사용 테스트 했봐는데 소리가 좋아습니다 --- 용도에 따라서 mu, rp 를 알아보고 동작점을 택합니다.아래 동작점은 PP 회로 의 초단에 쓸려는 동작점입니다.직결을 한다.. 더보기 좋은소리 조회 수: 2480, 2014-07-31 10:43:35(2014-05-14) 다시 반복정리합니다 좋은 음식제가 친구 초청으로 인도에 갔을때의 이야기입니다고급식당에 갔습니다. 무엇을 먹고 싶으냐고 하길래 네가 제일 좋아하는 인도 음식을 먹겠다고 했습니다.특별히 Extra 양념까지 쳐서 나왔습니다. 음식에 들어간 향료가 저에게는 메스꺼워서 식사 자체가 큰 고통이였습니다. Amp 의 좋은 소리.Amp 의 역할은 음원에서 나오는 신호가 Speaker 를 울리기에는 너무 약해서 이 신호를 크게 만들어서 Speaker 를 울려주는 전자장치 입니다. 제일좋은 Amp 는 음원의 소리를 그대로 무색투명 하게 Speaker 로 전달해주는 Amp 입니다. 저도 한몫 낀 옛날 역사 이야기입니다. 미국서는 NPN-PNP co.. 더보기 Low Distortion Amp 조회 수: 2023, 2014-05-25 12:41:45(2014-05-09 진공관 Amp 의 특성을 따지는 것은 구시대 꼴통들이나 하는 것으로 지금의 High End Audio 를 좀 한다는 사람들도 관심밖의 사항입니다. 그렇다고 구시대 꼴통들이 영구 개발해서 만들어냈다는 시실을 부정할수는 없을 겁니다. 이것만이 아니고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대문명은 이미 이 세상을 떠난 서양 할아버지들의 노력의 과실입니다. 진공관 Amp 의 Distortion 은 신호통로에 있는 Trans 와 진공관에서 만드러집니다. 저역과 고역의 주파수특성은 90%가 Trans 에 좌우 돼지만 Harmonics Distortion (음질) 은 그 대부분을 진공관이 만드러냅니다. 저의 경험으로는 Linearity 가 좋은 진공관.. 더보기 출력트랜스 설계연습 (마지막회) 글쓴 시간: 2010-02-28 07:15:53 누설인닥탄스와 권선용량 (Winding capacitance) 누설 인닥탄스를 줄이기 위하여는 일차와 2차권선의 자기적 결합이 될수있는 한 밀접해야 한다. 이런점에서는 분할 권선 방법이 유리하지만 반면 권선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분할을 많이 한다고 해서 꼭 유리한 것만은 아니다. 분할의 한계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고 한다 즉, a/3 x Nd**2 < c 여기서 a 는 권선층의 총 두께이고 Nd 는 분할 수 c는 절연지의 두께이다. 따라서 분할의 수는 절연지의 두께에 따라 그 한계가 그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설계예에서 볼수 있는 대로 분할의 수를 마음대로 늘리는 것이 곤란할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위의 설계예에서와 같이 2차 코일의 총 권수가 비.. 더보기 출력트랜스 설계연습 (4) 글쓴 시간: 2010-02-20 10:27:28 일차권선의 권수와 이차 권선의 권수가 정해졌으니 이제는 선경을 정해야 할 것이다. 불행히도 오디오용 트랜스의 선경을 정하는 과정은 찾지 못했다. 그래서 우선 전원트랜스의 설계방법을 따라볼까 한다. 사실 전원트랜스와 출력트랜스는 전류의 흐름에 차이가 있다. 오디오 용 트랜스에는 직류전류와 함께 음향신호가 함께 실린다. 음향신호의 특징은 소위 크레스트레시오, 즉 피크 값과 평균값의 비가 높다는데 있다. 흔히 10:1 혹은 그 이상으로 잡는 모양인데 1: SQRT(2)의 사인 웨이브과 비교된다. 또 다른 고려할 점은 암프의 클래스이다. 클래스 A암프는 전류가 (평균적으로) 일정하다. 반면 클래스 AB나 B는 전류에 변화가 비교적 크다. 한편 트랜스 권선의 전류용.. 더보기 출력트랜스 설게연습 (3) 글쓴 시간: 2010-02-18 12:44:43 과정(1): 권선 저항을 무시하고 Ra를 계산: Ra는 출력관의 내부저항과 부하저항을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저항값이다. 1700//10,000 = 1453 Ohm (Wo Lo= 2Ra)==> Lo = 1453 x 2/(2 x 3.14159 x 10) ==> Lo=46.3 H 여기서 10Hz의 저역 cutoff(1dB down)를 실현시킬 수 있는 1차 인닥탄스는 46.3H로 계상 되었다. 이것이 1차권선 인닥탄스의 목표값이다. 과정(2) :권선 저항을 무시하고 Rb를 계산: Rb = 출력관의 내부저항 + 부하저항 =11,700 Ohm (WsLs=0.5Rb)==> Ls = 11,700 x 0.5/(2 x 3.14159 x 50,000) = 18.72 mH ... 더보기 출력트랜스 설계연습 (2) 글쓴 시간: 2010-02-18 11:19:57 실례로서 다음과 같은 845 싱글용 출력트랜스를 설계해 보자. 주파수 특성: 10 Hz-50KHz, 1dB 출력: 20Watt. 845 내부저항: 1,700 Ohm 부하저항: 10,000 Ohm 최대 직류전류: 80mA 다음과 같은 코아를 가정한다. 코아 단면적 A: 40m/m x 50 m/m (3.1 square inch) 코아 자속통로의 평균길이 lc: 280 m/m (11 inch) 최대 허용 자속 밀도 Bmax: 50, 000 lines/ square inch 투자율 Mu: 자속밀도에 따라 3,000 - 4,500 권선 창의 크기: 80m/m x 20 m/m = 2.48 square inch 이 코아는 다불 c 코아로서 120 x 120 x 50 m.. 더보기 출력트랜스 설계연습(1) 글쓴 시간: 2010-02-18 11:02:4 일반적으로 트랜스의 설계는 상당수의 변수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생각같이 간단하지가 않다. 특히 광대역을 카버해야하는 고급 오디오 트랜스를 설계하는 일은 전기공학에 대한 소양이 없이는 매우 힘든일로 보인다. 한편 진공관 시대는 물론 아날로그 시대도 지나가고 디지탈 시대가 이미 진행중에 있는 이 때에 별 효용가치도 없는 출력트랜스 설계에 관심을 가질 사람도 별로 없을 것이니 이런 고색이 창연한 문제에 대하여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을 찾기도 힘들 것이다. 다행히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이미 1950년대이전에 상당히 잘 정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문헌만 잘 찾아보면 될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막상 인터넷을 뒤져보고 대학시절에 모아둔 진공관 서적을 뒤.. 더보기 845 Single 암프 제작기 글쓴 시간: 2010-03-15 12:20:17 강 OM님이 808암프 프로젝트를 제안한 이래 이 올드라디오 싸이트에서 싱글암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 같다. 사실 필자는 싱글보다는 PP암프를 선호하는 편이지만 소위 SET (single-ended triode) 암프를 따르는 추종자(?!) 들이 하도 많다보니 유행에 그리 민감한 편이 못되는 필자로서도 싱글암프에 대한 관심을 완전히 끊지는 못한 모양이다. 그래서 몇년전에 만들어서 조금 듣다가 한쪽에 쳐 박아 놓았던 845 싱글암프를 다시 손질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사실 몇년전에 제작한 이 845 싱글은 몇가지 미흡한 점이 있어서 이번 기회에 이를 보강해 보겠다는 생각도 들었고 808암프를 못만드는 대신 꿩대신 닭이 될지 아니면 닭 대신 꿩.. 더보기 직열관 808 의 직류점화 의 문제 글쓴 시간: 2011-02-17 11:35:13 작년에 올린 같은 Topic 에서 부족했던 설명 보충합니다. -- 300B는 되고 808 은 안되는 이유 -- 교류점화로 돌아가되 주파수를 100KHz 정도로 올려서 RF점화를 해 보시는 것이 어떨른지요? 더보기 Loftin White 씨의 직결 Audio Amp 글쓴 시간: 2010-08-01 08:53:53 아무리 좋은 capacitor 라고 해도 전기회로의 한 소자인 이상 주파수에 역 비레하는 reactance 와 작지만 등가 resistance 가 있습니다. 여기를 통과하는 신호는 주파수 특성과 위상에 변화가 오지 않을수가 없습니다. 더보기 완성된 6LB6 SE Amp 2011-06-09 02:08:0 1ET 정귀영 om 의 작품으로 전원이 내장된 6LB6 SE Mono Block 입니다. 중량감있는 Design으로 소리도 300B 보다 좋다고 합니다.6LB6 외에도 이와 비슷하고 Pd 가 40W 나되는 36LW6 라는 진공관이 있습니다. 진공관의 증폭도가 낮고 G3,G1 동시 Drive 도 별 효과는 없지만 이 진공관을 제대로 Drive 한다면 6LB6 보다 약간더 많은 출력을 내는 Amp 가 될것 같습니다. 앞으로 1ET om 의 36LW6 Amp 도 기대해 보십시요 와이푸로부터 앞 모양이 "돼지같다"는 핀잔을 받은 만큼 모양이 썩 마음에 들지 않게 되었습니다. 약간의 변명을 하자면 폐품만을 이용하다 보니 그렇게 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옆 나무판은 마루깔다 남.. 더보기 KD128 OPT TEST #2 - 13GB5 x3 SE Amp 로 조회 수: 1486, 2015-04-19 01:38:04(2014-04-07) 마요님 따라서 저도 13GB5 x3 Para 로 Amp 만드러 어렵게 만든 OPT (4, 8, 16 숫자에 너무 집착 말도록 ! 에서 만든 UL tap 없는 첫번째 OPT) 를 Test 했습니다. Driver 관은 마요님게 보낼려고 준비한 6LF8 을 사용 했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한다면 KD128 opt 성능 매우 좋습니다. 소출력에서 주파수특성은 10Hz 에서 20 KHz 까기 변동 없고 (+/- 1 db) 20 Khz 에서 서서히 감쇄합니다. 구형파 응답도 20Khz 에서 매우 우수합니다. (위 사진- 미세 noise 끼여있슴) OPT gap 은 약 12 mil 이고 1차 Inductance 는 8.6H (120Hz), .. 더보기 KD128 OPT - 13GB5 x3 SE Mayo Amp 조회 수: 4267, 2014-04-23 01:11:35(2014-04-03) 마요님의 13GB5 3개를 Para 로 연결한 SE Amp 입니다.KD128 R-core 로 만든 대출력 Amp 입니다. Mayo Amp 로 부르기로 합니다. 처음 KD128 OPT 사용은 RSY님의 808 입니다. Amp 특성 기다리고 있습니다.KD128 OPT 검증 겸 Mayo Amp 를 여기서 다시 검토 해 볼려고 합니다.Mayo Amp 관련 모든 댓글/질문은 여기 한곳으로 올려주십시요 아래 특성표는 참고로 올렸습니다.rp=128 ohm 로 매우 낮아서 동작 전압 Load Impedance 모두 낮은 값을 택해서 설계 했습니다. Mayoopt 특성 이라고 해야 하는지..? 입력 3w 에서 100hz 부터 5khz 까지는 .. 더보기 궁극적 Amp Test 조회 수: 1171, 2014-03-31 23:51:26(2014-03-30) 아주 간단합니다.자기가 내용을 잘아는 음원을 Headphone 으로 직접듣고 이 소리와Speaker 로 공급하는 소리를 같은 Headphone 으로 듣고 비교 합니다. Input/Output 를 Switch로 교체하면서 들어봅니다. 제일좋은 Amp 는 두소리가 같은 Amp 입니다. Sennheiser 는 독일회사 입니다 HD650 은 제가 쓰고있는 Headphone 입니다. HD800 은 최상급에 속합니다. 약 10년전에 여러가지를 비교해서 제일 좋디고 판단해서 택한것입니다.요사이는 더 좋은것이 많이 나와 있스나 들어본 것은 없습니다. 주의 -- 사용하는 음원의 출력 Impedance 가 headphone 보다 같거나 낮아야 .. 더보기 6LQ8 PP 종이위에서 만능기판으로 제작=>10KR8로 변경 조회 수: 6415, 2014-04-23 11:50:47(2014-03-18) 초보자를 위한 만능기판으로 따라하기 0.1uF coupling Cap 은 0.47uF 로 고처주십시요 1) 출력관 Cathode 에 초단관 Bypass Cap 220uF 와 같은 Cap 으로 Bypass 해주고 53 ohm 재조절 해보십시요. 출력이 약간 증가 할수 있습니다.2) 초단관 입력 control grid 에 1-2 K ohm를 동작안정을 위해서 삽입하는 것도 좋습니다. 3) 초단관 Plate의 10K 와 47uF Filter 는 Hum/발진 문제가 없스면 제거해도 좋습니다. 저는 Heater 전류를 가능한 한 적게 흘리도록 설계하고 그런 진공관을 찾아서 사용합니다. 제가 추천하는 진공관은 10KR8 입니다. 6LQ8.. 더보기 KD128 New 디자인 4, 8, 16 숫자에 너무 집착 말도록 ! 조회 수: 6543, 2014-06-10 11:28:12(2014-02-23) 2 차측 4 ohm 권선 -- AWG#22 3가닥 3층 = 76 turn 을 기준으로 위표와 같이 감았습니다.4 ohm 권선이 76 turn 이면 8 ohm 은 여기에 76 x 0.41 = 31 turn 만 추가하면 되지만 자리가 남아서 5 turn 을 더 감았습니다. 1차 1.6 K ohm 권선수는 760 turn (10배) 입니다. AWG 24 로 4 + 5 = 9층을 Full Layer 를 채워 감고 보니 818 turn 이 됐습니다. 권선비의 자승이 Impedance 비 -- 4 ohm 을 기준으로 하면 8 ohm 은 9.9 ohm 이 돼고 1차는 1.85 K ohm 으로 됍니다.8 ohm 을 기준으로 하면 4 ohm .. 더보기 KD128 OPT 쉽지 않네요 조회 수: 5210, 2014-02-24 01:03:36(2014-02-19) R-core - KD128 은 몸집 키우고 자로도 단축해서 특별히 OPT 용으로 한국서 주문제작 했습니다.멀리 한국으로부터 태평양을 건너 이 무거운 쇠뭉치를 국제 특배 항공편으로 수입한 아주 귀중한 물건 입니다.************ 다시 만들 가능성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R-core 자체는 좀 엉터리로 만들긴 했지만 잘못됀 부분은 맟춤형 Bobbin 으로 보상 하기로 해서정성껏 Bobbin 을 만들어 여러개 중에서 제일 잘된 것으로 Trans 를 감았습니다. 문제1) 만들어서 Test 했을때는 헐렁하게 들어가던 Bobbin 이 권선 후에는 Core 를 낄수가없습니다.하루밤을 지나고 보니 풀이 굳는 과정에서 Bobbin 이 .. 더보기 KD128 - 권선 준비 조회 수: 4575, 2014-02-18 13:12:58(2014-02-18) Bobbin 제작도 목표 달성햇습니다. 여러개를 만드러서 잘됀 것을 택했습니다.접착제로 굳어진 부분을 나무 조각 하는식으로 칼로 잘라냈습니다. 권선기에 Bobbin 물리는 Adapter 만드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예, turn 수 차도 나고 제가만든 권선 Data 가 5% 나 오차가 있습니다. 사용한 권선은 Heavy Coating 인데 Data 는 옛날에 Single coating 으로 만든 것 같습니다. 더보기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